조선 최대 갑부 역관 표정있는 역사 1
이덕일 지음 / 김영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무래도 미시사로 들어가면 본인의 관심사가 아닌 이상 재미있게 읽기가 쉽지 않다.  이덕일씨의 책들을 몹시 좋아하지만 "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 , "김종서 평전"이 그랬던 것처럼 이 책도 '재미'로 읽혀지지는 않는다. 다만 '지식'을 탐구하는 마음으로 읽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지만 그렇다고 아주 갑갑한 책은 아니니 겁먹지는 말기를... ^^

지금이야 통역이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은 전문인 중에 전문인이고 또 외교관도 그 범주에 넣어서 생각할 때 몹시 선망의 대상이 되어 있지만 조선시대에 역관은 '중인' 출신이었기에 벼슬이 높기는 힘들었다.  조선 초에는 높은 벼슬도 가능했지만 사회가 점차 양반 사대부 중심으로 흘러가면서 그들의 승진을 막고자 하는 양반들의 몸부림(..;;;;)으로 그들은 전문 지식과 능력을 갖추고도 정치적 변두리에서 살아야 했다.  그러나 그들의 전문성은 나라에서 먼저 필요로 하는 능력이었기에 곧 그들은 조선의 경제를 움직이는 큰손으로 바뀌게 된다.  당시 시장의 규모를 볼 때 가장 많은 돈이 오가고 또 물건이 오가는 길목도 이들의 사행길이기 때문이다.

청나라가 해금 정책을 펴는 동안은 조선 경제의 호기였다.  일본으로부터 결제받은 은을 청나라의 결제에 사용할 수 있었고, 양편을 중개무역할 수 있는 삼각 무역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청의 해금정책이 풀어지고 일본과의 직거래가 이루어졌을 때 조선이 받은 타격은 컸다.  그러나 당시 조선의 조정은 그같은 경제논리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했다.  농본상말을 기본으로 삼는 그들의 원칙에 충실했달까.(ㅡㅡ;;)

탁상공론에 빠져 있던 사신들은 조선을 위해서 그들이 해야 했던 역할들을 제때 잡아내지 못했던 일들이 있다.  그 일들을 역관들이 앞장 서서 해낸 일들도 이 책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문득 생각나는 것이, 조선 시대에 양반들은 돈의 통용을 반대했었다.  한마디로 천하다라는 것.  그랬던 그들도 숙종 때에 이르면 위조엽전을 만드는 일에 손댈 만큼 돈에 환장(ㅡㅡ;;)하는 모습도 보여준다.(드라마 다모가 기억나는가. 그때의 배경이 숙종 때였다.)  마찬가지로, 역관들의 일이라는 것을 천시했지만, 또 그들의 장사를 매도하며 방해하기도 했지만, 이들이 사오는 물건들이라는 것은 결국 양반들의 사치품이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했었다. 이 상호모순된 모습은 지금의 우리 현실에서도 종종 볼 수 있는 모습 같다.  수년 전 있었던 옷 로비 사건하며..ㅡ.ㅡ;;;

철저하게 사료 중심으로 책을 써 나가셨는데 거의 대부분이 한자로 쓰여졌을 그 책들을, 아무리 학자라고는 해도 읽고 해석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렸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더군다나 이덕일씨는 한문 공부를 독학으로 하셨다고 했다.)  '연려실기술'을 혹 읽을 수 있나 해서 검색해 보았는데, 어느 서점에서도 없었다.  한글본은 물론 한자어로도 출간은 아니 되었나 보다.(물론, 한자본이면 있어도 못 산다ㅠ.ㅠ)

조선왕조실록을 인터넷으로 볼 수 있는 쉽고 편한 세상을 살고 있는 우리이지만, 많은 고전과 자료는 여전히 학자들의 몫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독자에게 성큼 다가오게 연구하고 또 책으로 펴주는 이들의 수고와 노력에 감사한다.

비록 이 책은, 전작과 같은 대중적인 책이 아닌터라 전공 서적으로 공부하면 모를까, 쉽고 재밌게 읽혀지지는 않지만 몹시 유익한 책이라는 것에는 쉽게 동의한다. 

조선 후기, 나라가 위태위태할 때 시대를 앞서 읽어나가는 역관들의 지혜에 감탄하며, 그들의 지적을 바로 받아들이지 못했던 위정자들의 아둔함을 원망하며,  오늘을 사는 우리는 열린 마음, 열린 지식으로 살아야 할 것을 다짐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