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겹겹 - 중국에 남겨진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안세홍 지음 / 서해문집 / 2013년 8월
평점 :
지난 주였던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지원금을 내년 전액 삭감하겠다고 정부가 발표했다가 몇 시간 안 되어서 번복했던 일이. 그런 식으로 삭감했던 예산이 한 두 개는 아니지만 그 모든 것들에서 공통점은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런 결정을 내리는 사람들에게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 해방이 되고도 조국이 살뜰하게 보살펴주지 못한 그들을 사진작가 안세홍이 찾아다녔다. 그가 방문한 곳은 중국. 전쟁이 끝났음에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그곳에 살아야 했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찾아다닌 것이다. 세월이 흘러 이주한 곳을 못 찾기도 했고, 이미 돌아가신 분도 계셨다. 그렇게 재차 방문이 가능했던 여덟 할머니들의 육성을 사진과 인터뷰로 담아냈다.
이수단 “이 사진 한 장밖에 없어. 유일한 가족사진이야.”
김순옥 “어디메로 도망을 쳐, 잡히면 죽어요.”
배삼엽 “일주일 동안 거기서 피가 나대요. 아프고 붓고 걷지도 못했수다.”
김의경 “꽃이 피어오르는 걸 끊어낸 거지.”
박대임 “밤에는 잠을 안 재워. 그 짓을 안 하면 밥도 안 줘.”
현병숙 “혼은 조선에 가 있어요. 꿈을 꿔도 조선 꿈이지.”
박우득 “갈 수만 있다면 고향에 가고 싶어요.”
박서운 “나이가 원수라……. 인자 여기가 고향이여.”
목차만 보고도 짠해진다. 사진도 같이 보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63.jpg)
지구 반대편도 얼마든지 오고 갈 수 있는 세상이 되었건만, 이분들의 물리적 거리는 여전히 멀다. 그리고 아마 그들이 기억하고 있던 고향과 현실의 모습은 물리적 모습 뿐아니라 심리적 간극이 더 클 것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6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65.jpg)
저렇게 속아서 온 분들을 '자발적으로' 간 거라고 우기는 사특한 것들이 있다. 사람이라고 부르고 싶지도 않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69.jpg)
당신은 조국의 말을 잊어버린 게 이렇게 마음이 아픈데, 조국은 당신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듯합니다...ㅜ.ㅜ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72.jpg)
주름 가득한 얼굴에 젊을 때의 모습이, 흔적이 그래도 느껴진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73.jpg)
한복 입고 사진 찍는 게 소원이라던 할머니를 위해 안세홍 작가님이 사진을 찍어주셨다.
할머니, 소원 이루셨어요.ㅜ.ㅜ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76.jpg)
고향 말과, 고향 노래가 얼마나 많은 눈물을 달래주었을까. 동시에 얼마나 많은 눈물을 불러왔을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77.jpg)
이래서 할머니들은 젊어서 불임이 많았다. 이분들의 인생을 얼마나 너덜너덜하게 만들었던 것인가. 그런데 아직도 사과 한마디 못 받고 있다. 인정도 안 한다. 징글징글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79.jpg)
그 시절에 바람 난 남편을 향해 이혼을 선언한 대찬 여인은, 홀로 아들을 키우며 열심히 살았건만, 이토록 무참한 일을 당하고야 말았다. 국가는 이분들에게 어떻게 속죄할 것인가.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83.jpg)
떨어져 지낸 시간이 너무 길었다. 반가운 마음도 육신의 고단함이 받쳐주질 못했다. 할머니는 사흘 만에 중국으로 돌아와야 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8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86.jpg)
미국 군인도 있었다는 것이 충격적이다. 서로 적군인데?? 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88.jpg)
가난이 원수라고 말하고 싶겠지만 그건 이 나라의 면죄부가 될 수 없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89.jpg)
어렵게 국적을 회복해서 가족과 함께 살게 되었지만, 그것이 더 큰 상처가 되어서 중국으로 돌아가신 할머니. 그 서운함과 상처가 얼마나 컸을까. 한국의 가족들만 나무랄 수도 없다. 그들 모두가 피해자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5/pimg_7876031331310890.jpg)
사진전이 무사히 열릴 수 있도록 힘을 보탠 깨어있는 시민들도 분명히 있었다. 일본에서도 말이다.
현재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생존자는 47명에 불과하다. 이 숫자가 줄어드는 가속도가 더 붙을 것이다.
언제 후원했는지 기억도 안 나지만, 아무튼 위안부 피해자 소녀 이야기 '귀향'이 곧 영화로 올라간다고 시사회 안내 메일을 받았다. 이런 민간 차원에서의 움직임도 물론 중요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좀 더 영향력 있고, 영양가 있는 활동을 보고 싶다. 제발, 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