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승사자에게 잡혀간 호랑이 - 저승이야기 우리 문화 그림책 12
김미혜 글, 최미란 그림 / 사계절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날개를 활용한 이야기의 열기와 닫기가 인상적이다. 공간의 활용은 물론, 들여다보기와 궁금증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한 예라고 하겠다.  



"할머니, 할머니. 옛날 얘기 하나 해 줘."
"오늘은 무슨 얘기 해 줄까? 우리 강아지."
"오싹 오싹, 무서운 얘기!"
"그럼 지옥에 간 호랑이 얘기 하나 해야겠구나." 

우리가 자주 듣고 또 읽게 되는 많은 전래 이야기 속에서 '호랑이'는 단골 손님이다. 사람들을 잡아 먹는 나쁜 호랑이도 등장하고, 사람을 도와주거나 효성스러운 호랑이, 심지어 산신령에 암행어사 호랑이까지 등장하지 않던가. 하지만 그 중에서 해님달님의 떡 하나 주면 안 잡아 먹지~ 그 놈과 원래는 인간이었다가 호랑이가 되었다는 어느 나뭇꾼의 말을 곧이 듣고 어머니께 효성을 다했던 효성스러운 호랑이가 가장 유명할 것이다. 이 책은 그 두 가지 이야기를 다 알고 있는 사람이 읽을 때 깊이와 높이를 더 늘일 수 있는 책이다. 



쿵! 하고 수수밭에 떨어진 호랑이. 집채만한 호랑이는 이미 죽어 있었다. 사람들의 호기심을 뚫고 저승사자가 슝하니 달려온다. 

이승에서 떡 좋아하던 호랑이, 죽어 저승에 가서 저승 대왕 앞에 서 보니 다리가 와들와들 후들후들 보통 떨리는 게 아니다.  

살아 지은 죄를 다 비춘다는 업경대 앞에 서 보니, 그간의 행적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떡 하나 주면 안 잡아 먹지~ 하면서 떡 대신 팔을 뜯어 먹은 일, 팔을 다 먹어치우곤 목숨까지 걷어간 일, 그리고 그 아이들까지 잡아 먹으려다가 썩은 동아줄에서 뚝 떨어진 장면이 모두 거울에 비쳐졌다. 오호라, 호랑이가 수수밭에서 죽은 까닭은 바로 그 동아줄 때문이었구나! 

거울뿐이 아니다. 지은 죄를 무거운 추와 달아보니, 지은 죄가 더 무거워 쇳덩어리 추도 가볍게 들어올린다.  

지은 죄가 크니 벌을 받아 마땅한 일! 



호랑이는 사람을 죽인 죄로 물이 설설 끓는 가마솥지옥을, 약속을 지키지 않은 죄로 이가 달달달 떨리고 부딪치는 얼음지옥을, 거짓말한 죄로 혓바닥 위에서 황소가 쟁기질 하는 지옥까지 맛보아야 했다. 이걸로 끝이 아니다. 약한 자를 괴롭힌 죄, 남의 것을 빼앗은 벌도 받아야 하니 호랑이는 그야말로 무간지옥을 맛보는 중! 

저승대왕들은 마지막으로 심판을 내렸다. 잘못했다고 싹싹 비는 호랑이에게 한 번 더 호랑이로 태어날 기회를 주겠으니 다음 생을 두고 보겠다고! 

그리하여 여러 해가 흐른 뒤, 너럭 바위 쪽에서 또 다시 쿵 소리가 울리더니 호랑이 한 마리 죽어 있는 게 아닌가! 

다시금 달려오는 저승사자! 



이번에도 거울 속에 살아 생전의 모습을 비춰보니, 눈빛 선한 호랑이 한 마리가 있는 게 아닌가. 자신을 형님이라고 부른 어느 나뭇꾼의 말을 진심으로 알아들어, 그 어머니에게 효성을 바쳤던 호랑이. 어머니 몸보신 하시라고 멧돼지 잡아다 놓고 가던 지극정성은 워낙 유명했다. 그 어머니 돌아가시자 목 놓아 울던 효성스런 호랑이.  

이제 저승대왕들은 다시 심판을 내렸다.  

"너는 남을 의심하지 않는 순박한 마음을 지녔구나. 그리고 어머니를 위해 정성을 다했으니 그 마음이 어떤 보물보다 값지다." 

이에 호랑이에게 떨어진 명은 다음 생에 사람으로 태어나는 것. 착하게 살면 좋은 곳에 갈 수 있다나 뭐라나.  

그러니까 저승대왕들은 전생에 죄가 크면 축생으로, 덕이 크면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말. 그리고 인간으로 태어나서 더 착하게 살면 극락왕생한다는 지극히 불교적 세계관을 다루고 있다.  

자, 그렇다면 인간으로 태어난 호랑이는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책의 첫머리와 끝마무리를 열고 닫는 형식으로 매끄럽게 연결했다고 앞서 이야기했었다.  



할머니의 얘기를 듣고 있던 손자는, 대체 뭐라고 말을 하고 있는 중일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