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씨방 일곱 동무 ㅣ 비룡소 전래동화 3
이영경 글.그림 / 비룡소 / 1998년 4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규중칠우쟁론기'를 어린이 버전으로 예쁘게, 재밌게 표현한 책이다.
책의 앞뒤 표지를 펼치면 저렇게 세로 그림으로 작품 속 등장인물들이 재미난 얼굴을 한 채 한 자리씩 차지하고 있다.
혹시 싸우기 전과 화해하고 난 뒤의 얼굴 표정으로 바뀔까 해서 비교해 봤는데 앞 뒤 모두 같은 그림으로 보인다. 그래서 아쉽다는 얘기는 물론 아니다. ^^
키가 큰 척부인. 즉 자부인이다. 늘씬한 각선미를 자랑하는 폼새와 손가락의 모양새에도 '오만' 뿌듯함이 묻어 있다.
빨강 두건 아씨는 입을 헤 벌리고 곤히 잠들어 있다.
바늘 실 담겨 있는 저 상자를 뭐라고 부르더라? 그 안에 마치 의자에 앉아 있는 듯 올망졸망 모여 있는 나머지 친구들의 표정이 새초롬하다.
가위 색시가 이의를 제기했다. 잘 재어 본들 자르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냐고.
자부인의 큰 키에도 주눅이 들지 않는 강단이 가위 색시에게서 보인다.
건드리면 안 될 듯. 한 성깔하게 생겼다. ㅎㅎㅎ
요조숙녀 홍실 각시의 코웃음 치는 얼굴은 여간 얄미운 게 아니다.
그나저나 실패가 참 아름답다.
빨강 두건 아씨 입을 크게 벌리며 하품하고 있다. 이 친구들의 말 소리가 제법 시끄러웠나 보다. 곧 잠에서 깰 태세다.
빨강 두건 아씨에게 한 차례 혼나고, 안 그래도 성깔 있어 보이는 가위 색시가 다 때려치고 나가려고 한다. 말리는 고무 할매.
고등학교 때 문학 시간에 이 작품을 배웠었다. 딱딱한 고전 문체로도 제법 흥미롭고 재밌었는데, 그걸 아이들 동화로 각색해서 예쁘고 재미난 그림으로 함께 보니 더 맛깔나고 신이 난다.
이렇게 동화로 만난 작품을 성장해서 수업 시간에 다시 마주치면 학생은 또 얼마나 신이 날까.
그러니까 다양한 독서는 언제나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