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지럽다. 혼란스럽고 메스껍기도 하다. 뭔가 대단히 쿨해 보이는 표지를 한, 뭔가 시적인 느낌을 주는 '밤은 노래한다'라는 제목을 가진 이 책을 읽을 때의 내 감정이었다. 책을 다 읽은 지금도 머리는 맑아지지 않았다. 동요하던 마음도 충분히 가라앉질 못했다. 이 책, 대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길래?  

김연수와의 첫 만남이었다. 첫 만남으로 호된 신고식을 치른 셈이다. 이 책, 독하다.  

1930년대 동만주를 배경으로 한, 지극히 평범하게 살았어도 좋았을 법한 한 사내가 겪은 지극히 특별하고 끔찍한 이야기. 우리 역사 속에 엄연히 존재했던 비극적인 일임에도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숨은 이야기 '민생단'을 소재로 했다.  

주인공 김해연은 나라가 일제에 넘어가던 경술년에 경남 통영에서 태어나 경성에서 측량 기술을 배웠다. 만철 용정 지사에서 근무하던 중 신여성 이정희를 만났고, 어느 날 그녀에게로부터 편지를 받은 직후 경찰에 체포된다. 자신에게 떨어진 운명이 뭔지도 모르고 헤매던 이 청년은, 사랑하던 그녀가 이미 자살로 생을 마감했고, 그녀가 공산주의자였으며 자신의 친구와 깊은 사이였던, 온통 인정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폭포수처럼 맞게 된다. 자신이 알던 이정희는 누구였을까. 내가 알던 나는, 또 누구인가.  

그가 태어났을 때는 이미 나라가 넘어간 뒤였고, 아마도 그는 별다른 공포나 증오 없이 성장한 듯 보인다. 나름의 엘리트 코스로 편한 인생 대로를 걷던 그는, 그랬기에 사랑에 모든 걸 내던질 수 있었고, 그 사랑에 아파하며 제 목숨을 버릴 각오도 하였다. 비록, 그 자신 아직 죽을 팔자가 못 되었지만.  

사랑을 잃고, 영혼을 잃고, 그리하여 말을 잃고 살아가던 용정에서 만난 여옥이. 은사로부터의 초청으로 경성에서의 새 삶을 꿈꾸며 기대하던 중 맞닥뜨린 토벌대의 기습. 그 총격전에서 함께 하던 모든 사람이 죽었고, 여옥이는 한쪽 다리를 잃었고, 그만이 살아남았다. 복수와 분노의 마음으로 공산주의자로 거듭나려던 김해연. 그리고 거기서 민생단 사건과 맞닥뜨린다.  

민생단 사건은 떠올리자니 침이 마르고 혀끝이 쓰디 써진다. 적과 싸우다가도 아니고, 아군 손에 의해, 동지 손에 의해 무참히 살해된 독립 용사들. 당의 무오류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중국인 공산주의자들의 위기의식에 의해서, 혹은 우리 내부의 파벌 싸움에 의해서, 그리고 일본이 획책한 분열 의도가 그대로 적중하여 무수한 사람들이 죽고 말았다. 누군가는 밥풀을 흘려서, 누군가는 밥을 물에 말아 먹다가, 또 누군가는 너무 열심히 일을 했다는 이유로 허무하게 죽게 된 그들은 누구보다도 항일에, 반일에 앞장섰던 사람들이었다. 그 혼돈의 소용돌이 속에서 김해연은 누가 적인지 동지인지 분간할 수 없었고, 왜 그들이 싸워야 하는지, 왜 이렇게 죽어야 하는지 까닭을 알 수 없었다. 그 역시도 민생단으로 몰려 처형당할 뻔하였고, 그때 눈을 가렸던 검은 천 때문에 온통 암흑만인 세계에 갇혀야 했었다. 물리적인 눈뿐 아니라, 그의 마음이, 정신이, 그리고 그곳에 있던 모든 사람들의 처지가 그렇게 암흑이었을 것이다. 피아를 구분할 수 없는 혼돈의 세계.  

작품은 친절하지 않다. 민생단 사건을 알지 못하고서 작품에 뛰어든다면 더더욱 그럴 것이다. 혼란을 겪는 주인공처럼 어지럽게 왔다갔다 하는 시점과 사건과 인과관계가 독서의 흐름을 많이 끊어 놓았다. 이정희는 정말 자살했을까. 그녀를 죽게 한 건 결국 누구였을까. 그녀가 정말 사랑한 것은 누구였을까. 등등의 의문들이 꼬리를 잇는다. 어쩌면, 독자의 그같은 궁금증과 의문 역시 작가가 안배해 놓은 장치들은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한다.  

주인공 김해연은 무엇 하나 제대로 해낸 게 없었다. 그 시절에 온 몸과 마음을 바쳐 항일 운동을 한 것도 아니고, 그 반대로 민족의 적이 된 것도 아니고, 사랑도 일도, 그 자신의 정체성 찾기도 무엇 하나 제대로 해낸 게 없다. 그리고 그건, 이 책을 읽는 무수한 독자들인 우리네의 모습이기도 하다. 혼란을 겪고 상처를 받고, 해답을 찾지 못해 방황하는 청춘들인 우리들의 모습.  

문득, 영화 '색 계'가 떠오른다. 독립의지를 불태운 청년들이 민족의 반역자를 척살하겠다는 나름의 사명감으로 무장하여 제 몸들을 던져 도전했지만, 그들의 뜨거운 피와 용기가 허무해질 만큼 미약한 존재였다는 것, 그들의 계획이란 치기 어린 어린애 장난 같은 소소한 일 뿐이었다는 사실들, 그 끝에 무엇도 해내지 못하고 무엇도 가지지 못했던 쓰라린 결과들이 떠오른다.  

멋모르고 김해연이 달려간, 자의던 타의던 걸어간 그 길들은 다른 청춘들에게도 똑같은 질문을 던지며, 다른 형태로 다가올 것이다. 밤은 깊었고 새벽은 한참이나 남은 듯 보이지만, 그 길의 저 끝에서 희망이란 이름의 태양이 떠오를 거라고 기대하면서. 그 희망이 주는 폭력성은 알지 못한 채, 그들은 순진한 얼굴로 노래를 할 터이지. 혁명을 의심치 않으면서.  

세상의 날짜는 크리스마스 2부로 축복이 가득해야 마땅할 듯한데, 어쩐지 한없이 가라앉는 마음 한자락을 느낀다. 그리고 떠오른 노래는 존 레논의 imagine. 

무거운 소설 한 편을, 이제 마음에서 밀어내버린다. 감당하지 못할 무거움은 과감히 버려야 한다고 핑계를 대본다.  

덧글) 103쪽 밑에서 8줄 '겨울은 내 모습만을 보여줄 뿐'>>>'거울' 

        201쪽 첫번째 줄. '일본군와' >>>>'일본군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12-25 1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연수 책 하나도 안 읽어서 잘 모르는데~~ 이상하게 별로 댕기지도 않아요.
아마도 젊은 작가는 내가 기피하는 듯...
그냥 내 또래의 작가들이 나와 같은 세대를 사니까 좋아요.ㅋㅋ

마노아 2008-12-25 15:14   좋아요 0 | URL
저도 첫 만남은 그저 그랬어요. 소재나 배경이, 좀 더 나이들고서 도전했어야 할 영역은 아닐까 싶기도 하구요. 알라딘에선 굉장히 뜨거운 반응이더라구요. 아직 저는 공감이 안 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