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벼락 사계절 그림책
김회경 글, 조혜란 그림 / 사계절 / 200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똥떡도 그랬지만 도깨비 나오고 똥 얘기 나오는 옛 이야기가, 왜 이리 즐거운지 모르겠다. 아이들이 읽으면 더럽다고 코를 움켜쥐면서도 마구 좋아하지 않을까?

30년 머슴살이 새경으로 풀한포기 자라지 않는 돌밭은 내준 욕심 사나운 김부자!

그럼에도 돌쇠 아버지는 그 땅을 정성껏 일군다. 처음부터 거름진 땅이 어디 있겠냐며!

손에 피가 맺히도록 돌을 캐내었지만, 밭에 줄 거름이 부족했다. 그래서 귀하게 받들어 모시게 된 똥!

실제로 시골에서 농사 짓는 집은 남의 집에서 똥을 싸지 않는다고 들었다. 아까워서 반드시 집에 와서 똥을 싸야 한다고!

어느 날 잔치집에서 그만 신호가 와버린 돌쇠 아부지! 부랴부랴 집으로 달려왔지만 역부족!

결국 산 중턱에서 일을 해결본다. 그러다가 엮이게 된 도깨비와의 인연!

돌쇠 아부지를 가엾게 여겨 김부자네 똥더미를 선물로 내준 훈훈한 도깨비^^;;;

덕분에 농사도 잘 짓게 되어 마냥 행복했던 돌쇠 아버지는, 그 밭에서 금가락지 하나를 주으면서 일이 꼬인다.  욕심 사나운 김부자가 선을 악으로 갚아버린 것!

이후 펼쳐지는 도깨비의 스펙터클한 복수 한 판이 바로 똥벼락 되시겠다!

무지 웃기고 재밌는데, 화가 선생님은 줄줄이 이어지는 구성진(!) 똥자락을 계속 그리실 때 많이 힘드셨을 것 같기도^^;;;;

몽골에서는 소똥과 말똥이 취사, 난방용 연료로 쓰인다고 한다. 건조한 그 나라에선 이틀이 지나면 똥이 딱딱하게 굳어서 그냥 주워오면 된다. 그걸 여름 내내 모아다가 겨울 내내 써야 한다. 요게 화력도 좋고 꽤 쓸만하다는 것.

우리나라는 습기가 많으니 그런 용도로는 못 쓰더라도 농사용 거름 더미로는 아직도 유용할 터인데, 지금도 시골에서 똥을 거름으로 쓰는지 모르겠다. 유기농법은 이렇게 쓰려나?  그저 자연 그대로가 최고인 것을, 욕심을 지혜로 착각하는 많은 사람들이 어여 깨달음을 얻어야 할 텐데 말이다. 멜라민을 떠로려도 그렇고, 5분 먼저 가려다 50년 먼저 (저 세상으로) 가는 미련한 사람들이 우리네 모습이다.

즐겁고 유쾌하게 읽고 한바탕 크게 웃어보고 깨달음도 얻어가는 유익한 책이다. 똥벼락 떨어지기 전에 욕심은 금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10-09 2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흐흐~ 이거 읽어주면 애들이 웩웩~거려요.ㅜㅜ
마지막 페이지 금반지를 걸고 있는 호박인가 수박인가 압권이지요.^^

마노아 2008-10-09 22:46   좋아요 0 | URL
아앗? 호박인지 수박인지 못 봤는데 다시 가서 봐야겠군요!
아까 책을 조카 주고 와서요^^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