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쓰돈 돈쓰 돈돈돈쓰 돈돈쓰
박흥용 지음 / 황매(푸른바람) / 2008년 6월
품절


책보의 으뜸은 광목!
각 잡힌 모양새가 참 맘에 든다.
나 어릴 때는 분홍색 자석 박힌 곽 필통이 참 탐 났더랬다.
언니들은 꼭 내 필통으로 철제 필통만 사다줬는데 난 플라스틱 필통을 더 좋아했다.
누르면 지우개 칸도 나오고 연필깎이도 튀어나오는 그런...
요새 초등학생들도 그런 필통 쓰려나?

책보 메는 다양한 방법을 보여주었다.
머리에 이고 있는 녀석이 주인공이다.
이마에 누워있는 내 천자 골이 너무 깊어서 아이같지가 않다.

그래픽 붓으로 그린 배경에 만화 말칸이 풍선처럼 둥둥 떠 있다.
사진같은 배경이 이색적인데 그 안에 조화를 시킨 만화 그림이 멋지다.

고무신을 신어본 기억은 없는 듯하다.
어릴 때 한복을 입었을 때도 아마 신발은 운동화였던 듯.
고무신에 바람 안 들어가게 발로 입구를 막은 뒤 뻥 소리나게 하는 놀이의 재현.
친구 불러내는 신호가 되기도 한다.

사진이 엄해서 잘 나오진 않았지만 화투장의 뒷장 그 질감까지 표현한 그림이 정성스럽다.
여자 인물만 3D로 그렸는데 2D그림에 3D얼굴이라니, 아이디어가 신선하다.
일종의 위화감까지 느끼게 하는 이 부조화의 조화라니!

바람 불어 나뭇잎 떨어지는 장면의 느낌을 화투 패의 그림을 활용해서 표현했다.
역시나 감각적이다.

춤추는 가얏고의 오연수가 떠올랐다.
숲과 마을, 한 마리 새,
그리고 춤추는 그녀와 장구치다 말고 넋이 나간 소년(..;;;)의 배치가 눈을 끈다.
꽉 찬 화면인데 그녀의 춤사위는 날아갈 듯 자유로워보인다.
실로 기예에 살아야 할 사람이었다.

그녀가 마지막으로 남기고 간 모스 부호다.
열심히 해석했는데 작가가 뒷장에 해답을 알려주었다.
의미심장한 뜻은 독자 개인의 해석에 맡기며...


양장본 표지가 두툼하고 고급스럽다. 출판사 이름의 글자 디자인도 맘에 든다.
책이 일반 단행본 만화보다 훨씬 비쌌는데 책장 가득 담긴 정성이 고가를 받을만한 이유를 설명해준다. 작품의 만족도와 함께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