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마중 - 유년동화
김동성 그림, 이태준 글 / 한길사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만나고 싶었던 동화책을 드디어 보게 되었다. 요새는 나보다 더 중고샵에 올인하는 언니가 한밤중에 급하게 문자를 찍었다. 얼른 담아서 주문해 달라고. 그래서 부랴부랴 주문해서 받은 엄마 마중.
사실 글을 쓴 작가보다 그림을 그린 김동성 작가에게 더 관심이 가 있었다. 책을 펼쳐보면서 그 아련한 그림들에 얼마나 가슴이 훈훈하던지.
추워서 코가 새빨간 아가가 아장아장 전차 정류장으로 걸어 나온다.
전차가 등장하는 걸 보니 배경이 아주 오래된 옛날이다.
녀석이 '낑'하고 안전 지대에 올라선다.
저 높지 않은 안전지대에 낑하고 올라가는 모습에서 아이가 아주 어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 있는 사람들의 옷차림 등에서 추운 계절이라는 것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무채색 옷이 많았을 그 시대의 옷차림을 김동성 작가가 잘 잡아낸 듯 보인다.
책은 간결한 그림과 진한 풍경 그림이 교차되어 지나가는데 한컷한컷 넘길 때마다 짠한 감동이 밀려온다.
전찻길에서 하염없이 엄마를 기다리던 꼬맹이가, 이윽고 도착한 전차의 차장님께 묻는다.
"우리 엄마 안 와요?"
차장은 "내가 너희 엄마를 아니?"하고 되묻지만, 그 냉랭함 속에는 '내가 어떻게 아니!'와 같은 질책이 느껴진다.
남겨진 아이는 지루함을 견뎌내며 다시 하염없이 전차를 기다리고, 다시 온 전차 차장님께 똑같이 질문한다.
"우리 엄마 안 와요?"
마찬가지로, "너희 엄마를 내가 아니?"하고 가버리는 차장님.
아이는 다시 기다린다. 쪼그리고 앉아서 다음 전차가 오기를...
그 사이 기다리고 있던 사람들은 계속 변했다.
그들 모두 전차에 타거나, 기다리는 사람을 만나서 집으로 돌아갔을 것이다.
겨울 철새들을 배경으로 다시 꿈처럼 다가오는 노란 풍경 속의 전차.
아이는 다시금 고개를 빼꼼히 들고 묻는다.
"우리 엄마 안 와요?"
"오! 엄마를 기다리는 아가구나."
라고 말한 차장은 직접 내려와서 아이를 다독여준다. 다치지 않게 한 군데 서서 기다리고 있으라고 차분하게 말씀해 주시는 차장님.
어째서일까. 아이는 그때부터 쓸쓸한 풍경을 배경으로 한 채 꼼짝않고 그 자리를 지킨다.
바람이 불어도, 전차가 다시 와도, 코만 새빨개진 채 그저 가만히 서 있을 뿐이다.
눈이 오고 그 눈이 쌓이고, 계절이 깊어가는 건지, 몇날 며칠이 더 흘렀는지 모르겠다.
아이는 그날 밤 늦게까지 엄마를 기다렸을 수도 있고, 엄마를 만나지 못해 다음 날도 또 다음 날도 전찻 길에서 기다렸는지도 모른다.
이후 책은 글자 없이 그림만 보여주다가 마무리를 짓는다. 눈썰미 있게 지켜보지 않으면 이야기는 너무 슬프게 끝난 듯 보인다.
도대체 이토록 기다리는데 왜 엄마는 아니 오시는지! 작가는 왜 엄마랑 아가를 만나게 해주지 않는지 원망이 생길 법도 하다.
헌데, 자세히 지켜보자.
저기 눈 쌓인 계단 앞에 엄마 손 꼬옥 잡고, 엄마가 주셨을 빨간 사탕(경단??) 들고 엄마 바라보며 신이 났을 아이의 모습이 보이는가.
엄마의 손에도 뭔가 잔뜩 들어있는 바구니가 들려 있다. 아이를 위한 먹음직스런 무엇이었을 수도 있고 장사하고 남은 떡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중요한 건! 엄마와 아이가 만났다는 것이다.
독자는 드디어 만난 엄마와 아가를 발견하고는 금세 쓸쓸한 마음을 밀어내고 기뻐한다. 이 아련한 이야기, 해피엔딩이구나!
작가에 대해서 검색을 해보았다. 악! 상허 이태준이 아닌가! 상허당의 그 주인!
게다가 '문장강화'의 이태준이 이 이태준일 줄이야. 신간이라 생각했던 그 책은 사실은 고전이었던 것이다.
사망 연도가 잘 나와있지 않은데 북한에서 숙청되면서 그 즈음에 죽었을 거라고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작품의 배경이 전차가 나오는 아주 오랜 옛날인데, 이 시대를 일제 치하라고 가정을 한다면, 엄마를 기다리는 아이의 고단함이 더 절실하게 느껴진다. 때맞춰 오는 전차의 차장에게 물어봐도 알 수 없는 엄마의 귀가. 광복을 기다리던 우리 국민들의 염원이 아니었을까. 바람이 불고 눈보라가 치고, 코가 새빨갛게 변하면서까지 기다린 엄마는, 마침내 눈 가득 쌓인 어느 밤에 돌아오신다. 우리가 그토록 기다렸던 그 광복의 날처럼. 아무리 추워도 아무리 코가 빨개져도, 발이 시려도, 엄마가 왔으니 그 길은 춥지도 어둡지도 않았을 것이다. 아가는 마냥 행복했을 것이고, 따뜻한 꿈을 꾸었을 것이다.
작가가 이 책을 썼을 때는 이런 염원을 담아 쓴 것이 아닐까. 동화책에서 기대 이상의 감동을 찾았다. 원래도 좋아했던 김동성 작가는 더 좋아졌다. 이태준 선생님 책은 좀 더 찾아봐야겠다. 이 책은 조카 책인데, 내 책으로 하나 더 구입하련다. 역시 소장용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