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객 1 - 맛의 시작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많은 경우가 종종 보인다.  수작이란 소리를 많이 들었지만 내 눈으로 확인하기 전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이런, 내가 너무 늦게 알아차린 것이었어...^^

주인공 성찬은 차장수다.  그냥 장사치가 아니라 제대로 된 '식객'이다.

첫번째 이야기에선 입양되기 전에 어머니가 주신 생쌀의 맛을 기억하는 입양아의 어머니를 찾아주는 일에 도움이 되면서 펼쳐진다.  우리쌀 지키기의 힘겨운 모습도 보여주는데, 첫 에피소드부터 울컥! 뜨거운 게 치솟았다.

두번째 이야기는 고추장 굴비.  야트막한 담장으로 서로 나누던 이웃간의 정을 되새겨볼 만한 시간이었다.  아파트라는 고공 시멘트에 갇힌 오늘날로서는 가히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가을 전어 맛은 깨가 서말이고, 집나간 며느리도 다시 돌아온다는데.. 세번째 이야기는 전어구이로 자살 소동을 일으킨 어느 아저씨의 맘을 돌이키는 내용이다.  내가 전어 맛을 본 적이 있던가... 생각해 보지만 모르겠다.  정말 모르는 건가??ㅡ.ㅡ;;;

그 다음은 60년 전통의 곰탕을 만드는 집이 나온다.  맛의 비법과, '진수' 기자와의 만남이 진행되고, 다섯 번째 이야기는 "밥상"이 주인공이다.

밥상의 진짜 주인은 '밥'이건만 '찬'에 밀려 주인 내색도 못하는 밥의 처지를 실감나게 이야기해 준다.  그림만 보고도 어찌나 먹음직스럽던지 맛깔스런 밥의 향내가 책 밖으로 새어나오는 기분이었다.

맛있는 밥을 먹고 식사를 한다면 좋지만, 그렇지 못하더라도 그냥 끼니 때우는 것으로 만족할 때가 많았다.  작품을 보면서 그건 '귀찮아서'지 '바빠서'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바쁠 때도 있지만...)

굳이 '전통' 운운하지 않더라도, 우리의 생활 기본 바탕의 아주 중요한 식생활인데, 많은 경우 잊고 사는 듯... 반성할 일이다.

기념으로 내일은 정말 맛난 밥을 먹어야겠다.  무, 물론... 내가 하진 않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