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여왕 안데르센 걸작그림책 1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 지음, 키릴 첼루슈킨 그림, 김서정 옮김 / 웅진주니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의 여왕을 처음 읽은 것은 초등학교 때였다.

그때는 그 유명한 안데르센이 썼다는 것은 인식하지 못하고 그저 참 슬프고 또 예쁜 이야기다...라고 생각했더랬다.

눈의 여왕을 내가 다시 인식하게 된 것은 이미라 만화 "겔다를 찾아서" 때문이었다.

원작의 이야기는 악마가 천사들을 놀래켜주려고 뭐든 반대로 보이는 거울을 들고 가다가 신의 노여움을 받아 거울을 떨어뜨리는데, 그 거울의 파편이 가이(이 책에서는 '카이') 의 눈과 심장에 박혀 아이는 차갑게 변해 버린다.  함께 놀던 동무 겔다가 그 가이를 구해내기 위해서 힘겨운 모험을 거치고 끝내 눈의 여왕으로부터 가이를 돌려받는 게 이야기의 줄거리이다.  만화에서는 그 가이가, 아무리 기다려도 겔다가 오지 않아서 직접 찾으러 나서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쯤 되면 흥미 진진해지니, 다시 원작이 궁금해지지 않을 수가 없다.  당시 다시 책을 찾아보면서 오래 전에 내가 읽었던 눈의 여왕이 안데르센의 작품이라는 사실에 깜짝 놀라며 역시... 하고 고개를 끄덕였던 기억이 난다.

이 작품이 다시 뜨고 있는 게 혹 드라마 때문인지는 모르겠는데, 드라마를 전혀 보지 못해서 어떤 연관이 있는 지도 모르겠지만, 아무튼 신비롭고 이질적인 저 그림 때문에 많이들 호감을 가지는 것 같다.

난 나름대로 '나니아 연대기'의 그 하얀마녀를 떠올리며 책을 펼쳤는데, 그 하얀 마녀만큼은 차가울지 몰라도, 그녀만큼 예쁘지는 않아서 쬐매 실망했다. 6^^;;;

뭐랄까.  하얀 눈의 세계가 마냥 예쁘고 신비로울 것처럼 여겼는데, 작품 속의 이미지는 "음산한" 편이다.  그래서 비교육적이란 소리는 아닌데, 또 생각해 보면 저토록 춥고 서러운 여정의 길을 가는데 그 길이 마냥 예쁘고 빛날 리가 없으니 작품은 오히려 현실적인 그림이라 할 수 있겠다.

이미 어른인 내 눈은 선입견을 가지고서 작품을 보기 때문에 지레 짐작하기 때문인 듯 싶다.  아이의 눈으로는 또 어찌 볼 지 궁금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기 2007-01-06 0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얀 마녀만큼은 차가울지 몰라도, 그녀만큼 예쁘지는 않아서 쬐매 실망->
맞아요! 맞아요!

마노아 2007-01-06 0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크크.... 공감대가 형성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