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후흑의 힘 - 우리의 선한 의도는 결코 순진함으로는 지켜낼 수 없다
친닝 추 지음, 함규진 옮김 / 월요일의꿈 / 2025년 4월
평점 :

*** 이 리뷰는 책콩 카페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이 책은 동양의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해당하는 처세술이라는 평가를 받는 중국 청나라 시기 저작인 후흑학의 내용에서
파생하여 인간의 사회적 영향과 비전, 태도, 본질 등에 관한
삶의 처세와 철학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총 16개 단원에 걸쳐 이루어져 있다: 리쭝우의 후흑학에서 후흑과 관련된 기본적인 개념들을 설명하고, 저자가
추구하는 고차원의 후흑을 삶 속에서 양성하고 실천하기 위한 원리와 법칙들을 소개하고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대만계 미국인 비즈니스 컨설턴트 친닝 추 작가이다.
---
후흑(厚黑)이라는 단어가
뜻하는 후안흑심(厚顔黑心: 낯 두꺼움과 시커먼 마음)보다는 후안무치(厚顔無恥: 낯
두꺼움과 수치심의 부재)라는 사자성어가 우리에게는 더 친숙한 표현으로,
둘 다 개인의 이익만을 목적으로 저지른 개인의 비양심적이고 비윤리적인 사회적 행동을 가리키는 말에 해당한다. 다만, 후흑은 근본적인 행동의 목적과 원인이 개인적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저자가 생각하는 후흑학은 중국 청나라 리쭝우의 저작과는 별개로 인생의 생활 속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 일종의 생활
윤리와 철학적 차원의 판단과 실천 원리와 법칙으로 제시한 것으로 동양과 서양의 철학과 사상 그리고 심리학적 내용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다:
성공적인 삶은 자신을 이해하는 바탕 위에서 자신만의 길을 따라 가는 삶으로, 고차원의
후흑을 성공적인 삶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이자 법칙으로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이런 악의적인 수단과
방법을 자연스럽게 구사하려면 높은 수준의 정신 수양과 자아 성찰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고차원
후흑이 가지는 공동 선과 이익이라는 사회적 단계의 후흑의 양성을 위해 힌두교에서 다르마(dharma) 개념을
도입하고 인내를 위해 장자의 초연함을, 속임수의 활용을 위해 손자병법 등을 소개하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점은 대만 출신 배경의 저자가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느꼈던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그리고 철학적
태도와 시각과 행동의 차이를 다양한 경험담을 통해 들려주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금전적 이익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는 것이 인간 관계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정원 조경의 범위에 과연 잔디가 포함되는가, 현실적 이익과 편리를 위한 배신이냐 당장의
손해와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신의이냐 사이의 선택의 차이 등의 교훈을 얻을 수도 있다.
또 한가지는 흥미로운 점은, 저자가 이미 우주 전체가 거대한 하나의
신비로운 체계 안에서 작동한다는 세계관을 전제로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종교 심리학 해설서를 읽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예를 들면, 개인마다의 다르마의 역할의 중요성, 인간과 자연 세계의 조화, 인간의 노력의 한계와 우연한 성공으로
이끄는 보이지 않는 오묘한 힘의 작용 등의 신비한 이야기가 소개된다.
전반적으로 보면, 인간이 개인으로서 사회적 활동과 내면적인 인격과
수양을 위한 판단 기준과 행동 원칙을 설명하고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배울 만한 요소들이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