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래량으로 투자하라 - 개정판
버프 도르마이어 지음, 신가을 옮김 / 이레미디어 / 2018년 1월
평점 :
이 책은 기술적 분석 기법 중에 하나인 거래량 지표 분석에
기반한 주식 투자 전략을 소개하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버프 도르마이어는 펀더멘털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모두 섭렵한 배경을 가진 현역 기술적 시장 분석가이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8개 주제를 가지고, 총 22개
단원에 걸쳐 기술하고 있다: 주식 투자를 위한 기본 개념; 기술적
분석의 역사; 기술적 분석의 기본 개념; 주가-거래량 분석 방법; 기존 거래량 분석 지표들의 고찰; 새로운 거래량-주가 확인 지표와 강도 지표; 주가-거래량 분석 기반 주식 투자 기법; 현재 시점에서의 거래량 기반 투자 기법의 문제점.
[주식 투자를 위한 기본 개념] 부분에서, 저자가
바라보는 주식 투자 관점과 분석 방식에 관한 분류와 특성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저자는 기업 자체를 우선시 하든, 주가와 거래량의 흐름을 우선시
하든, 동일한 현상을 바라보는 가치관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의 역사] 에서는 기술적 분석이 발전해온 역사를 다루고 있다. 가격과 가치에 대한 분석의 시작을 구약 성경부터 언급하며 근래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 금융시장의 이론적 선구자들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가
금융시장에서 기술적 분석가들이 다수가 아닌 소수라고 여기는 부분은 흥미로운 대목이다.
[기술적 분석의 개념] 부분에서는 주식시장에서 주가를 분석하기 위한 기술적 분석의 기본
개념들의 정의와 분석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차트, 거래량의
의미, 거래량 분석, 추세 등.
[주가-거래량 분석 방법] 부분에서는 주가와
거래량 사이의 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하여 주식시장의 현재 흐름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바
차트와 거래량의 관계 해석하기; 거래량 분석으로 시장 추세 파악하기;
주가 차트에서 추세의 패턴 파악하기;
[기존 거래량 분석 지표들의 고찰] 에서는 거래량 분석에 사용되는 거래량 지표들 중에 대표적인
7가지 유형에 대해 기본적인 정의와 의미들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순수
거래량 지표(거래량, 거래량 이동평균, V-ROC, V-MACD, Bollinger band 등); 일중
거래량 매집 지표(OBV, VPT, VZO 등);일중 거래량
매집 오실레이터(변화율) 지표(DFI, WVAD, WAD, MF); 주가 범위 거래량 지표(MFI, EOM);
거래량 토대로 하는 주가 매집 지표(PVI, NVI); 틱 거래량 지표(VWAP); 거래량 가중 지표(MFI, VWMA, VW-MACD, TTI).
[새로운 거래량-주가 지표와 강도 지표] 에서는
저자가 제안하는 거래량 주가 확인 지표(VPCI)를 소개하고, 기존의
거래량 지표들과 비교하고 있으며, 아울러 주식 시장 전반의 세력 변동을 파악하는 강도 지표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또한 시가총액을 반영한 시가총액 가중 거래량 지표 방식과 리스크 관리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주가-거래량 분석 기반 주식 투자법] 부분에서는
저자가 고안한 거래량 분석에 기반한 주식 투자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우선 시장의 추세를 분석한 다음에
개별 종목에 대해 거래량 분석을 통해 매수와 매도를 결정하는 총 8단계 전략을 기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시점에서 거래량에 기반한 주식 분석과 투자 방법이 대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다루고 있다(스캘핑, 다크풀, 거래량의 신뢰도 등).
이 책은 기술적 분석 방식의 주식 투자 기법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기술적 분석에 대해 기본적 개념과 용어를 쉽게 설명하고,
주가 차트와 거래량 지표의 분석 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서 초보자에게 일종의 투자 가이드 역할도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가 제안하는 거래량 주가 확인 지표(VPCI)는
최근 주가 추세가 최근 기간 가중의 누적 거래량의 추세인지 구분함으로써 거래량에 포함된 거짓 데이터들을 걸러낼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저자도 지적했다시피, 주가가
박스권에서만 움직이거나 박스권에서 상승하지 못하고 급락하는 상황보다는 주가 추세의 전환으로 상향이 확실한 경우에 매우 정확하고 빠른 매수 신호를
전달한다는 면에서 매우 유용할 것 같다. 그리고, 저자가
제안하는 주식 투자 기법은 이른바 탑다운 방법으로 우선 주식 시장 전체의 추세를 분석한 다음, 개별
종목의 추세를 분석하는 순서로 투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시간을 절약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시장 구성 비율에 의한 대표 추세 값의 왜곡가능성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저자가 생각하는 투자에 관한 개념과 철학에는 전적으로 동의할
수 없지만, 저자가 제안한 투자 기법은 유용한 투자 지침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적 분석의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