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와 게임으로 만나는 코딩의 세계 - 생각하는 코더가 될래요
짐 크리스티안 지음, 전성민 옮김 / 미디어숲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실제로 코드를 배우지 않고서 코딩을 배우기 위한 코딩 사고 방식을 습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 책이다. 책의 구성은 4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딩을 위한 생각 법; 문제 해결 방법; 코딩 언어; 코딩을 위한 사고력.

첫 번째 단원인 코딩을 위한 생각 법 부분에서는 코딩과 컴퓨터에 관한 기본적인 배경 지식을 서술한다. 코딩(coding)은 코드(code)를 작성하는 것이고, 프로그래밍(programming)은 프로그램(program)을 작성하는 것인데, 2가지 용어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사실 코드와 프로그램은 의미가 다른 용어이다. 코드(code)는 사람이 쉽게 인식하기 어려운 숫자나 문자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가리키고, 프로그램(program)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영어)를 사용하여 만든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나타낸다. , 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이고, 프로그램은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이다.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을 코더(coder),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사람을 프로그래머(programmer)라고 부르는데, 역시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차이가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소프트웨어(software)만을 주로 다루는 명령어들로 이루어져 있고, 코드는 컴퓨터 하드웨어(hardware)와 관련된 명령어들도 함께 섞여 있어서 하드웨어에 관한 배경지식도 요구된다.

두 번째 부분에서 다루는 문제 해결 방법은 프로그램이 실제로 수행하는 작업의 내용에 관한 방법을 의미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수행하는 작업은 인간이 생각해낸 문제 해결 방법을 단계적 지시 사항으로 기술한 일종의 절차(알고리즘, algorithm)라고 할 수 있다. ,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은, 인간이 생각해 낸 문제 해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결국,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 내는 것이 중요한데, 이런 능력을 키우는 방법으로 수도쿠(Sudoku)와 논리 퀴즈 퍼즐 같은 논리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는 놀이를 추천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는 세 번째 부분에서 다루는데, 기본적인 언어의 특징적인 사양을 기술하고 있다: 데이터 형식과 구조, 알고리즘, 반복문(루프), 조건문, 연산자, 함수, 변수, 디버깅 등에 대해 개념적인 설명을 한다.

마지막으로 코딩을 위한 사고력을 갖추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코더처럼 생각하기나 컴퓨팅 사고력의 주요 요소들을 개발하는 것을 조언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를 실제로 배우지 않고서 프로그램 작성을 하기 위한 핵심 작업인 컴퓨팅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전문 용어나 역사에 대해 정확성이 부족한 점은 아쉽지만, 알고리즘(이른바 컴퓨팅 사고력) 개발 방법으로 추천하는 수도쿠와 논리 퀴즈 퍼즐 게임은 매우 유용한 조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