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록체인의 충격 - 비트코인, 핀테크에서 loT까지 사회구조를 바꾸는 파괴적인 기술
<블록체인의 충격> 편집위원회 외 지음, 김응수 외 옮김, 마부치 구니요시 감수 / 북스타(Bookstar)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블록체인’이란 용어 자체는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에서 사용된 거래정보를 보관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구현된 처리
기법으로서, ‘비트코인’의 등장과 함께 알려지기 시작한다. 처음 적용된 사례가 ‘비트코인’이라는
가상화폐에서 구현되었기 때문이다. ‘블록 체인’ 기술의 활용적인
측면에서 사회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끼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이 크다는 점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
책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사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 용어를 가리키는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처럼 구체적인 기기나 설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블록 체인(block chain)’은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도록 고안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DB,database)형태이다.
여러 거래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머클 트리(merkle tree)’라는
자료 구조로 변환하여 하나의 블록 단위로 설정하여 이전의 암호화된 블록의 해쉬(hash)값 다음에 연속해서
덧붙이는 방식으로 하나의 블록의 연결을 구성하게 된다. ‘비트코인’에서는
이런 일종의 암호화된 분산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형태인 블록 체인을 P2P(peer-to-peer)방식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가상 화폐의 직접 거래 당사자인 양측(소유자=구매자=송신자, 양수자=서비스판매자=수신자)간에 교환된 거래 정보가 네트워크의 중간 중계 노드들에게 남아
저장되는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 책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단순히 핀테크(fintech)분야를 넘어서 헬스케어나
사물인터넷(IoT)에 결합되어 사회 보편적인 형태로 적용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일종의 시나리오를
기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저자가 가상화폐 종사자이기 때문에, 금융적인 측면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에 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저자가 지적한 대로, 가상화폐의
경우 실물 화폐를 대체할 만큼 실제 사회에 완벽하게 적용되려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아직은 너무 많다: 기술적인 문제, 법률적인 문제, 금융거래
문제 등이 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이고, 사람들의 인식을 개선시키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우리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블록 체인’이라는 기술 자체는 보안적인 측면에서 안전(secure)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블록 체인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만능 해결책은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의 모든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된다면, 저자가
예측하는 상황대로 향후 금융업계를 시작으로 사회 전반적인 사업이나 문화에 전혀 새로운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가능성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네트워크 속도나 처리 기술 수준으로는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가상화폐’에 대한 해킹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향후의 해결책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해킹으로 인해 금융사고가 발생할 경우, 처벌 조항이나 책임
소재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불안 요소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마치
마이크로소프트사(社)의 창업주 빌 게이츠 전 회장이 1995년에 쓴 ‘미래로 가는 길(the
road ahead)’를 읽었을 때와 똑 같은 느낌을 받았다. 지금 당장의 현실과는 아주
거리가 먼 미래의 상황을 상상하여 이야기한 것인데, 마치 허황된 것처럼 들린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이 매우 부족해서
사전 배경지식이 없는 독자가 읽기에는 부적합한 점이 있다.
과연 ‘블록체인’ 기술이 앞으로 어떤 형태의 서비스로 발전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