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 이겨놓고 싸우는 인생의 지혜 현대지성 클래식 69
손무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책콩카페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


이 책은 중국 고전 병법서 손자병법의 원문을 해석하고 다양한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해설한 완역본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13편의 원문을 대상으로, 각각의 편마다 원문과 원문 해석, 원문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해설, 실제 역사적 사례들을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의 병법가 손자이고, 역자는 중국 전문가 소준섭 박사이다.


---


동양고전의 명저라는 평가를 받는 손자병법은 지금으로부터 2500 여년 전에 출간된 서적이라는 점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해석본이 3천종이 넘는다는 사실은 놀랍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세계 최강 군사력 국가 미국에서 사관학교 수업 커리큘럼에 손자병법이 다루어지고 있고 손자병법의 내용에 기반하여 제작된 미국 육군 야전 교본이 훈련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2500년의 시간 간격을 뛰어넘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손자병법이 가지는 영향력과 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수많은 손자병법의 번역과 해설본들이 출판되어 왔는데, 이 책만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일까?


이 책이 가지는 최대 장점은 단연코 저자만이 내놓은 통찰이라고 말할 수 있다:


손자 병법은 군대를 다루는 방법뿐만 아니라 군대를 운용한다는 것의 본질, , 아군과 적군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벌어지는 전투와 전쟁을 여러가지 다양한 계층에서 조명하고 용병의 본질, 더 나아가 전쟁의 본질에 대해 탐구한다.


손자병법 전편의 내용을 유기적이고 일관적으로 바라보고 부분적인 내용을 연관지어 해설하고 적절한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묘사되는 설명은 독자로 하여금 이해를 높여준다: 기본적으로 손자병법 원문의 내용은 매우 추상적이라 마치 일종의 조직 운영 지침서처럼 느껴질 수 있을 정도인데, 구체적인 역사적 인물들의 에피소드를 통해 생략된 세부적인 사항들을 유추하고 다른 관점에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만들어준다.


특히, 병법서의 내용을 동양철학 사상인 도가 사상인 노자철학과의 관계를 제시하는 부분도 인상적이다: 도덕경에서 쓰인 도()가 손자병법에도 등장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과연 동일한 의미인지는 개인적인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또한 노자철학에서 허실 개념은 관점을 고정된 인간 중심이 아니라 자연 중심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생기는 괴리를 지적한다는 차이도 다시 한번 생각해 볼만 하다.


개인적으로 인상적인 내용은 ()’, ’()’허실(虛實)’에 대한 부분이다: 형은 물리적인 군사조직이나 군대 역량을 가리키고, 세는 군대 운용술과 군대 운용으로 인해 생성되는 흐름을 나타내고, 허실은 철저하게 상대방 적군의 정보를 기반으로 파악하고 계산하여 아군의 대응을 속이는 동시에 공략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형세를 주도하는 관계라는 대목이다. 각 항목의 내용들이 연관성이 있어서 헷갈려 보이지만 명확하게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전반적으로 보면, 기존의 손자병법 번역서와는 차별되게 저자만의 깊은 통찰력 위에서 추상적인 내용들을 상세한 측면에서 해설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고전 원문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아가는 재미를 주는 완역본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