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픽사, 미학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그리고 디지털 문화
에릭 헤르후스 지음, 박종신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25년 8월
평점 :

*** 이 리뷰는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
이 책은 컴퓨터 애니매이션 제작사 픽사(pixar) 스튜디오 회사와
회사의 작품들에 대한 분석과 비평을 담은 디지털 문화 비평서적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주로 디즈니와의 병합 이전의 픽사 스튜디오의 장편 애니매이션 작품들을 대상으로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5개의 특징들을 주제로 기술하고 있다: 미적 스토리텔링; 디지털 상품의 기괴한 완전성; 기술적인 숭고함에서 포스트모던 숭고함까지; 환상적인 것과 평범한 것의 특별한 변증법; 혼란을 일으키는 감각과
새로운 것의 정치학.
저자는 미국 툴레인 대학의 커뮤니케이션 학과 에릭 헤르후스 교수이고, 번역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박종신 교수이다.
---
요즘 가장 논란거리가 되고 있는 전통적 애니매이션 제작사인 디즈니사와 같은 소속사 계열이지만 또다른 측면에서
논쟁거리가 되고 있는 컴퓨터 애니매이션 제작사 픽사의 기업에 관한 이야기와 픽사의 작품들 속에 흐르고 있는 미학과 철학, 영상 산업과 상업적 문화, 디지털 문화에 관한 요소들을 분석한 비평이
이 책의 주된 내용이다:

픽사가 디즈니에 소속되어 있고 독립적으로 운영된다고 하지만 왜 요즘 디즈니가 매우 이념적이고 당위적인 윤리와
가치 기준을 작품 제작에 적용시킬까? 이 책을 통해 놀랍게도 픽사로부터 받은 영향이 없을 수 없음을
확신하게 된다.
20세기 말 인터넷 웹기술의 출현으로 모든 것이 디지털화될 때 등장하여
소위 최신 유행의 디지털 문화 상품을 제작하는 최첨단 기술과 경영 방식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픽사 스튜디오의 실제 모습과 픽사 스튜디오에서 내놓은
작품들 속에 담겨 있는 주제 의식과 의도는 무엇인지를 기존의 미학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산업적 관점에서 파악해서 드러내고 있다:
예를 들면, [토이 스토리]의
스토리텔링 안에 이미 전통적인 인간의 가치와 윤리적 개념이 상업적 기업 세계의 목적이 모순적으로 공존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배반과 혼란과 순수함의
사건들을 현실세계와 유사하게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오히려 [토이 스토리]의 매력이 된다라는 사실이다.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몇 가지 사실들도 있다:
개인적으로 미처 의미를 미처 깨닫지 못한 작품이 있다면, 아마도 [인크레더블]일 것이다: 가족
영화이면서도 슈퍼히어로물인 [인크레더블]은 어떻게 보면 초능력을
가진 가족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일반 시민들을 악당들과 위기로부터 구출하는 평범한 이야기인줄로만 알고 있었는데,
여기에는 정부의 체제, 자유주의와 평등 사회 계층 구조에 관한 주제 의식이 기저에 깔려져
있었다는 사실도 놀라웠다.
또 한가지는 역시 [라따뚜이]도
빠뜨릴 수 없다: 그저 기존의 요리사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천재 신인 요리사인 쥐 레미가 온갖 구박을
받으면서도 나중에는 결국 일자리를 얻게 된다는 동화같은 이야기 정도로 알았던 것이, 실상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창조성이 어떻게 기존의 권력 계층에게 받아들여지는지, 특히 자본주의적 논리가 적용되는
환경에서 소비와 평가와 광고가 어떻게 연결되어 작동되는지를 직접적으로 묘사한 매우 정치적인 우화라는 사실이 충격적이었다.
전반적으로 보면, 이 책은 컴퓨터 애니매이션 기업 픽사의 기업 정신과
픽사 작품들의 근본 철학과 미학들을 살펴봄으로써 픽사의 애니매이션 영화들을 새롭게 바라보고 경험하고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는 비평서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 #애니매이션 #스토리텔링
#디지털문화 #픽사미학적상상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