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굴의 인문학 - 얼굴뼈로 들여다본 정체성, 욕망, 그리고 인간
이지호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25년 9월
평점 :

*** 이 리뷰는 책콩카페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이 책은 얼굴을 구성하는 얼굴뼈와 얼굴 기관들을 대상으로 해부학적 지식과 관련된 인문학적인 이야기들을 담은 해부학
인문 교양서적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크게 3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얼굴뼈와 얼굴 기관에
대한 해부학적 내용을 기술하고 얼굴뼈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서울아산병원과 울산의대 구강악면외과 이지호 교수이다.
---
얼굴뼈는 서양과 동양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양에서는 뼈의
모양을 보고 인간의 성격, 특징, 지능을 판단하는, 소위 ‘골상학’이라는
이름의 유사학문이 발전해왔다. 한편, 동양에서는 얼굴뼈라기
보다는 좀더 정확하게는 얼굴뼈 위에 자리한 얼굴 피부와 주름의 모양이 중요하게 간주된다. 소위 ‘관상학’이라는 유사 인간 심리학이 인간의 생애와 심리, 성격, 행운과 불행의 단서들을 알려주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 책에서는 얼굴뼈와 얼굴 기관들의 해부학적 지식과 관련된 인문학적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다:
얼굴뼈 절단과 접합부터 동화 속 성냥팔이 소녀가 실제로 다녔던 성냥공장의 직업병인 백린중독에 의한 인악병을 겪었으리라거나
치아관련 수술 도구가 로마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되었다는 사실에 이르기까지 흥미롭다.
한편으로는, 물론 해부학적인 내용도 다루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는 그림이나 문구들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오싹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내용은 일본의 전통 풍습인 ‘오하구로’에서 치아를 검게 물들이는 것이 심미적 이유때문이었다거나 고대시대부터 상대방에게 형벌이나 모욕을 주기 위해 코를
잘라버리는 행위가 행해졌는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코 재건 수술도 발달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한편으로는 성형수술이 생각보다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단계까지 발달되었다는 점도 흥미롭다: 사실 성형 수술 자체가 인간의 욕망 때문에 받는 것이기도 하지만, 양악수술의
경우에는 하는 것도 대단한 작업이자 받는 것도 용기가 필요하다라는 점에서 충격적이다.
또 한가지는 옆통수와 아래턱뼈가 인간에게 가장 치명적인 부위라는 점이 인상적이다: 권투나 종합격투기 경기를 보면 간혹 아래턱을 살짝이라도 맞은 선수가 쉽게 ko되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에는 인체의 해부학적 사실이 숨어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전반적으로 보면, 인간의 중요한 부위인 얼굴에 관해 전문적인 해부학적
지식과 다양한 인문학적 이야기들을 함께 알려주는 인문 해부학 교양 서적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