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 불확실성의 시대를 읽어내는 경제학
에드 콘웨이 지음, 육혜원 옮김 / 이화북스 / 2025년 4월
평점 :

*** 이 리뷰는 책콩카페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
이 책은 경제학의 주요 원리와 법칙들의 내용들을 핵심 키워드로 정리하여 알려주는 교양경제서적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경제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들의 내용과 아이디어를 요약하여 키워드로 정리하고 관련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역사적인 사건들을 함께 소개하는 방식으로 크게는 6가지 종류의 범주(경제학 기본원리; 경제학 흐름; 경제
시스템의 메커니즘; 금융과 시장; 현대 경제의 핵심 쟁점; 인간과 세상을 위한 경제학)에서 총 50개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영국 경제 전문 컬럼니스트 에드 콘웨이 기자이다.
---
요즘처럼 경제 분야에서 뉴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논란이 증가되는 시기가 없다고 느낄만큼 일상 생활에서 경제의
힘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처럼 일방적인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과연 미국과 세계의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인가? 보편적 기본 소득이 과연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이 책에서는 경제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들을 역사적인 사례들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경제학이 무엇이고 언제부터 등장했을까?
개인적으로 경제학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흥미로웠다:
애덤 스미스에 의해 19세기부터 학문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이래로
경제학의 기본 철학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성찰으로부터 나왔다는 점이다: 인간이 저지르는 행동에는 본능적인
이기적인 욕구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덕이나 윤리적 차원이 아닌 사회적 약속인 법률에 의해 개인의 경제 행위를 억제하고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은
결국 정치 체제와도 연관이 있고 해외 무역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이다.
국가 차원의 경제에서 파탄을 막을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들은 결국 서로 연동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주의깊게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화폐통화량, 금리, 물가, 실업률, 국제
무역 수지, 환율, 세금에 관한 정책은 소위 순환주기를 거치며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악의 경우 과도한 투기로 인한 버블이나 물가하락으로
인한 경기 침체나 불황조차도 새로운 시장의 탄생의 기회로 이어진다고 보는 것이 자유 시장 체제의 기능 중에 하나라는 점에서 자유 경쟁과 기술 혁신의
중요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가장 인상적인 내용은 경제 불평등은 반드시 해소시켜야 할 1순위 우선과제라는
사실이다: 경제 불평등으로 인한 개인들이 가지는 불만은 궁극적으로 사회 공동체와 나아가 국가 체제 자체를
위협하는 폭동으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21세기들어 등장한 새로운 이론 중에서 인간의 경제적 선택 행위의
본질이 자기중심적인 합리적 판단도 아닌 단순히 군중심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행동경제학도 인상적인 부분이다.
전반적으로 본다면, 경제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들을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양 경제서적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