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도시 이해 - 북한 도시를 아십니까? 북한 도시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강채연 지음 / 바른북스 / 2024년 12월
평점 :

이 책은 북한의 대표적인 도시들의 지리적 특징과 모습들을 소개하는 북한 도시와 지리에 관한 교양서적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총 23개의 북한 도시들을 4개의 주제의 범주(평양 인근 도시;
항구 도시; 접경 도시; 광물자원 도시)로 묶어서, 각 도시마다 지리와 역사적 배경, 최근의 도시 모습, 향후 발전될 미래의 모습까지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국립통일원 교수이자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강채연 박사이다.
---
전쟁으로 인해 남한과 북한이 분단된지 75년을 넘어 가고 있다. 가족 세대로 따지면 3세대가 지나가 버린 셈이다. 도시와 국가 또한 마지막으로 기억하고 있는 이들의 추억 속의 모습에서 3세대가
지나 버린 현재의 모습은 어떻게 변했을까? 더군다나 미지의 세계인 북한의 공산주의 독재체제 속에서 어떤
식으로 도시와 마을이 발전하고 변해버렸을까? 궁금증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에서는 북한의 도시들이 가지는 지리적 특성 이외에도 북한 정부에 의해 개발된 최근의 모습과 북한 정부가
추진해온 발전 양상을 대략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아무래도 일제 강점기 시절의 역사적 배경에 기인하기
때문에 일제의 잔재 공장 시설들을 그대로 활용하여 만든 도시들도 많이 눈에 띈다: 사리원의 비료 공장, 함흥의 화학공장, 철강 공장의 청진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북한에서 야심차게 새롭게 건설한 도시들도 있어서 흥미롭다: 평양 보호를
목적으로 평양 주변에 조성된 평성, 군수산업 목적의 도시 김책, 기계화
공업 도시이자 군사적 요새인 희천 등이 인상적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궁금하고 관심있는 부분은 문화재와 관련된 역사적인 도시들이었다:
과거 역사적 유물과 유적이 다수 출토된 지역이라 역사문화 관광지로서의 성격이 반영된 모습일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대부분 공장들이 들어선
모습에 놀라게 된다: 남북 경제 협력의 도시인 개성이나 고구려 유적지 집안시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만포시의
경우가 놀라게 된다.
전반적으로 보면, 북한 도시들의 지리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 현재의 모습과 더불어 미래에 펼쳐질 모습까지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교양지리서적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