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라비아 역사 - 중동의 3천년 역사를 이해한다 ㅣ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시토미 유조 지음, 정애영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4년 8월
평점 :
이 책은 아라비아 반도 지역의 3천년의 역사를 통사적으로 기술한 교양역사서적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고대 문명의 국가 성립 시기부터 현대의 독립국가 시기까지의 대략 3천년의 시기를 8개 단원에 걸쳐 통사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아라비아 반도의 역사는 기원전 10세기부터 메소포타미아 지방과 이집트
지방 사이의 위치에서 지중해와 인도 사이의 향료 무역을 위한 중간 경로 상의 거점 도시 형태로 홍해와 페르시아 연안의 항구 도시와 내륙의 오아시스
도시들이 형성되어 발달하게 된다.
3세기 이후 사산조 페르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7세기 이후 이슬람 국가들의 난립이 16세기까지 진행되다가, 포르투갈과 튀르키에의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다. 17세기가 되자 영국과 네덜란드의 진출이 시작된다.
18세기 중반 세워진 아라비아 반도 중앙부의 사우드 왕국처럼 동부
페르시아만 연안을 따라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남부의 오만 등이 국가를 성립하지만 20세기 세계 대전까지 영국의
지배와 영향력 아래에 놓이게 된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아라비아 반도의 부족 국가들을 대상으로 오스만 제국과 서양 제국들이 벌인 민족주의와 부족주의에 기반한 동맹 연합과 배신의 연속적인 전쟁은
현재의 아랍 국가들의 탄생을 만들어 확립시키게 된다. 문제는 1차
세계 대전 즈음에 발견된 중동 지역의 석유 자원때문에 서구 열강들의 쟁탈전이 심화되었지만, 결국 영국이
최후의 승자로 독점적인 이권을 누리게 된다.
불과 100년 전까지만 해도 같은 이슬람 종교라는 공통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민족과 부족적 갈등 요소에 의해 전쟁이 끊이지 않았던 아랍 국가들이 현재는 종교 이외에 산유국가라는 경제적으로 윤택한 또 하나의 공통
요소가 확보되었음에도 여전히 중동 아랍 지역의 평화는 확실히 정착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저자는 아라비아 고대사와 동서 해상 교류사 전공의 일본 도쿄대학 시토미 유조 명예교수이다.
---
최근까지 한동안 국제 뉴스와 경제 뉴스에서 중동국가들이 자주 등장하곤 했다: 아시아
축구대회를 진행했고 한국의 무기 수출과 건설 사업 진출이 이루어진 카타르나 한국 원자력발전소 건립예정인 아랍에메레이트 등의 국가들은 이름은 알지만
정확한 지리적 위치나 역사와 문화 등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홍해 아덴만의 한국 상선 구출 작전으로 유명한 예멘과 모카커피 무역항으로 유명한 오만도 비슷한 경우이다.
이 책에서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생하고 소멸해버린 국가들의 역사를 다룬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교훈은 중간 무역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던
아라비아 내륙의 오아시스 무역 도시가 주변 강대국들 사이의 정세 변화로 인해 무역 중계 경로가 중단되자, 급격한
경제적 쇠퇴로 인해 결국 화려했던 도시가 인구 유출과 함께 황폐화되어 소멸되어 버리는 현상이 인류 역사에 자주 등장하는 사건이라는 점이다.
아라비아 반도에 존재하는 소위 아랍 지역 국가들의 사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매우 복잡하다:
아라비아 반도의 지리적 특성 상, 농업보다는 목축업과 중계 무역이
발달할 수밖에 없는 조건 하에서 이슬람 종교의 중심지라는 측면에서 교파의 정통성 유지와 민족과 부족 사이에 역사적 전통적으로 맺어져 이어져 내려온
약탈 행위와 협력과 배반 관계 등은 아라비아 지역의 분쟁 해결과 평화 고착을 방해하는 근원적인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아랍국가들이 석유 자원의 원산지라는 자연조건 덕분에 경제적 부의 획득이 아랍 지역의 문제를 한 차원 더
복잡하게 만든다: 석유 자원을 무기화하여 독점적 사용과 공급을 통해 경제적 이득을 노리는 이른바 서구
강대국 세력들의 경쟁이 아랍국가들의 외교적 관계의 협력과 단절의 행태로 나타나 이른바 국제 뉴스에 자주 소개되는 것이다.
지리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한국의 입장에서 아랍국가들과 별로 관계가 없어 보이지만, 생각 외로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과 발전이 필요한 단계이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 현재가 한국 입장에서 아랍국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 보인다.
전반적으로, 복잡한 아랍국가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소개한다는 점만으로도
읽을만 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교양 역사 도서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