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홀
카를로 로벨리 지음, 김정훈 옮김, 이중원 감수 / 쌤앤파커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화이트 홀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물리학의 연구와 발견 과정 속에 가려진 과학적 진리 탐구가 가지는 가치와 인류에게 미치는 의미를 조명하는 교양과학도서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3부분으로 나누어 블랙 홀 화이트 홀에 관한 아이디어와 이론 연구 내용과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블랙홀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 블랙홀이 생성되고 나서 블랙홀 내부에서 벌어지는 현상, 블랙홀과 화이트홀의 변환 과정과 화이트홀의 생성 등을 총 21개 단원에 걸쳐 다루고 있다.

저자는 이탈리아 출신의 세계적 이론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 프랑스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이론물리학 센터 교수이다.

---

화이트 홀이란 이름만 들으면 주로 SF영화나 소설에 등장하는 단어로 친숙하지만 구체적인 실체나 현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왜냐하면 블랙홀은 비교적 최근이지만 관측되어 실제 존재가 입증된 바가 있지만, 화이트홀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어서 단지 추측과 상상 단계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화이트홀과 관련되어 다양한 아이디어와 이론 주장들이 많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가 논란거리가 많은 화이트 홀이고 저자 자신의 연구 내용과 성과에 기반하여 화이트 홀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저자가 화이트 홀 연구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앞서 있는 연구자로 알려져 있다.

근래 들어 SF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타임머신이나 공간이동의 워프 개념처럼, 스티븐 호킹과 쏜 킵손의 연구 내용들에 기반한 아이디어들에서 많이 차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블랙홀과 화이트홀이 모래시계처럼 한데 붙어 이어져 있어서 블랙홀에 빨려 들어간 물체는 화이트홀 밖으로 전혀 다른 시공간의 세계로 탈출한다는 생각이다.

저자는 과학적 연구를 통해 이런 상상이 터무니없는 허황된 이야기만이 아닌 것임을 구체적으로 사고실험을 통해 묘사하고 있다.




저자의 생각이 기존의 아이디어와 다른 점이라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간 물체가 매우 짧은 시간 후에 양자도약으로 인해 화이트홀로 변해버린 블랙홀을 거꾸로 튕겨져 나가게 되지만 실제 화이트홀 외부에서 소요된 시간은 매우 긴 시간이 흐른 상태라는 것이다.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이고 충격적인 내용은 우주의 질서, 시간, 에너지의 흐름과 관련된 부분이다: 우주에서 비가역현상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에너지 평형 상태가 이루지면 더 이상의 시간의 발생과 인식이 없어지고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은 흥미로운 대목이다.

열역학 법칙이 지켜진다면 에너지의 이동은 어쨌든 계속해서 일어나야 하고, 암흑물질이나 블랙홀의 증가와 감소가 일방적으로 급격하게 발생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 소위 우주 공간에서 격벽의 역할을 하는 것들의 우주 전체적인 차원에서의 작동 메커니즘이 임의적인지 어떤 임계 장치에 의해서인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화이트홀이라는 흥미로운 개념과 아이디어를 소개하면서도 이론 물리학이 가지는 과학적 탐구 과정의 모습도 함께 소개하는 교양과학도서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