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세 유럽인 이야기 - 모험하고 싸우고 기도하고 조각하는
주경철 지음 / 휴머니스트 / 2023년 11월
평점 :

이 책은 서양 문명의 중세시대의 역사를 유럽인들이 가진 종교적 사상과 세계관에 근거해 중세인들의 관점에서 전개해나간
과정과 모습들을 이야기하는 역사서적이다.
책의 내용과 구성은 8세기 바이킹 시대부터 르네상스 시대인 16세기까지의 중세 시대를 다루고 있으며, 5개 부분으로 나누어 중세
시대의 특징들을 시대적 순서대로 기술하고 있다: 항해 바이킹들의 활약이 가져온 유럽의 영향(영국의 노르만 왕조, 프랑스의 노르망디 지방, 시칠리아 왕국, 그린란드와 북아메리카 이주); 이슬람 문명과의 충돌과 십자군 전쟁; 중세 국가 황제보다 우위를
점했던 교황의 권력의 단상; 종교적 세계관 속에서 13세기
발생한 페스트 전염병에 대처하는 중세인들의 모습; 종교적 이념 전쟁이 끝난 후에 맞닥뜨린 정치 권력
투쟁과 르네상스 시대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서울대 서양사학과 주경철 교수이다.
---
서양의 중세 시대를 다룬 드라마나 영화의 대부분은 주요 인물이나 사건에 초점을 맞추어 극의 내용이 전개되어 가기
때문에 드라마 속에 인물들이 보여주는 행동의 요인이 되는 당시 사회적 환경이나 관습들을 상세하게 묘사되는 경우가 드물다. 더군다나 주요 배경이 되는 장소나 소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동양인의 입장에서는 더욱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단적으로
최근에 OTT를 통해 방영된 8세기 바이킹족의 활약상을 담은
미국 드라마 [바이킹]이라는 작품이 있다. 개인적으로 드라마 작품은 역사와는 별개로 과장과 왜곡이 들어간 단순한 드라마일뿐이라는 생각으로 감상했던 기억이
있다.
이 책을 통해 뒤늦게 깨닫게 된 것이 있다: 모든 사건에는 나름대로
합리적인 근거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바이킹들이 왜 북유럽에서 배를 타고 중부 유럽지역까지 내려와 약탈을
하다가 결국 정착까지 하게 되었는지, 당시 오딘신앙의 이교도인 바이킹이 어떻게 기독교도의 문명세계로
동화되었는지가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는지가 이해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 밖에도 이렇게 비로소야 뒤늦게 이해가 된 부분들을 책 속에서 많이 만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황제의 권위의 원천이 카톨릭 교황의 임명에 달려 있기
때문에 의식 제례가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이 크다거나, 르네상스 시대의 시작이 되는 기반이 교황세력과
황제세력 간의 고대 로마법의 해석에 근거한 전통을 만들기 위한 목적에서 기인한다거나, 단테의 작품 [신곡]에서 묘사되는 연옥의 개념이 중세시대에서 가지고 있는 의미와
중요성의 위대함,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에서 마련했던 금융거래 활동에 대한 정당성 근거의 작용, 폭력적이고 일방적으로 행해진다고서 보이던 마녀 사냥이 당시에는 나름의 근거가 확보된 관습이었다는 점이다.
전반적으로 중세 유럽의 역사를 중세 시대의 종교적 세계관 속에서 활동하던 중세인의 관점에서 서술하고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역사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