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와 천조의 중국사 - 하늘 아래 세상, 하늘이 내린 왕조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단죠 히로시 지음, 권용철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중국의 왕조 시기에 따라 중국의 세계관과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서술하는 역사서이다.

책의 내용과 구성은 중국의 5천년 역사 시기 동안 중국인의 세계관인 중화(中華)와 통치 사상인 천조(天朝)가 가지는 개념적 의미와 자국의 인식과 통치와 외교 방식의 변화에 대해 왕조 시기별로 나누어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는 일본 교토여대 단조 히로시 명예교수이다.

---

21세기 초 2010년대 중반부터 중국이 주변국 뿐 아니라 전세계를 향해 벌이고 있는 외교적 행태는 결코 상호 우호적인 방향과는 거리가 먼 오히려 일방적이고 난폭스럽다는 평가나 소식을 뉴스를 통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왜 그럴까? 과연 중국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일까? 더 나아가 한 국가가 자국의 정체성을 어떻게 파악하고 타국 타민족의 정체성을 어떻게 구별할까?

이 책에서 다루는 중국 역사의 통사적 시각에서 중국인의 세계관과 통치관을 통해 이처럼 다양한 질문들에 대한 해답에 관한 단서를 다루는 얻을 수 있다. 

중국인의 전통적 세계관과 통치관에 따르면, 하늘의 대리인 천자(天子)가 직접 통치하는 영역이 물리적 공간으로는 천하(天下)가 되고 추상적 자아는 중화(中華) 민족이란 것이고, 중화 종족이 아닌 민족들은 모두 오랑캐(4), , 동서남북 사방의 오랑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했고, 궁극적으로 중국의 천자가 오랑캐들을 직접 혹은 간접 통치하여 문화적 혜택을 전수해주는 것으로 하나의 단일 국가를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 이런 관념적이고 이상적인 목표는 현실 세계에서 왕조의 정치적 성립과 통치의 정당성의 근거로 전환되는데, 이때 주변국과의 관계 형성의 원리로 작용하게 된다: 화이(華夷)의 질서, 국력과 문화적 우수성과 중심이 되는 중국을 중심으로 주변에 존재하는 오랑캐 국가들은 중국과 조공과 책봉을 통한 복속 관계인 천하질서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서에 등장하는 한반도의 국가들은 고조선시기부터 중국과의 화이질서 기반 외교관계가 시작된다.

역사적 흐름에서 볼 때, 현재 중국이 추구하는 외교정책은 과거 역사의 양상의 재현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역자도 지적하듯이 지금 주변국들의 위상은 과거 역사적 시대의 주변국들의 위상이 아닐뿐더러 중국에 대항할 만한 강대국이 다수 존재한다는 점 때문에 오히려 중국에게 해가 될 수 있을 거란 예상에 깊이 공감하게 된다.

또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역대 중국 왕조에서 진, , , 명을 제외한 나머지 비한족(非漢族)이 세운 통일왕조(, , , )들은 하나같이 모두 오랑캐의 문화와 습속을 버리고 중화화되어 중국문화에 동화되는 바람에 민족적 정체성뿐만 아니라 국가로서의 정체성까지 상실하게 되어 결국 멸망하게 되었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아무래도 책의 저자가 일본인 역사학자라는 점은 상기할 필요가 있다: 4세기부터 일본의 한반도 지역에 대한 지배 영향력 행사에 대한 시도가 역사서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한반도 침략과 정복 욕심은 매우 오래된 연원이 있다는 점이다. 4세기에 일본(왜노국)이 한반도 지역(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통치자임을 중국에게 임명해 달라고 요구했다는 기록과 그에 대해 중국이 일부 제외(백제 제외)한 지역의 통치자로 임명했다는 기록이 과연 일본이 한반도를 지배했다는 증거로서 성립되는지는 의문스럽다.

역시 중국과 마찬가지로 일본 또한 주변국가들에 대한 자국 중심의 일방적 외교관계의 구축 작업이 진행중이라는 점을 떠올리게 된다.

이 책의 번역자인 권용철 박사의 말처럼 현재의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 결국은 중국의 역사를 들여다보아야 한다는 사실이 틀리지 않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