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 현실과 환상이 만나고 다투다가 하나 되는 무대 클래식 아고라 2
일연 지음, 서철원 옮김 / arte(아르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고려시대 역사서 삼국유사를 다양한 역사 문헌들을 기반으로 번역하고 해설한 역사서이다.

책의 내용과 구성은 삼국유사의 체계에서 8개 편(기이, 흥법, 탑상, 의해, 신주, 감통, 피은, 효선)에 대해 각 편의 기사마다 전체적인 줄거리를 번역하여 완성하고 관련 문헌의 내용들과 비교하여 번역자의 의견을 함께 서술하고 있다.

저자와 번역은 서울대 국어교육학과 서철원 교수이다.

---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더불어 고려시대 작성된 역사서이지만, 정통 역사서가 아닌 설화나 신화 중심의 이야기들이 중심으로 서술된 역사책이라는 점에서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이 책은 다양한 문헌들의 내용을 기반으로 삼국 유사의 기사 번역의 내용과 비교하여 허구와 진실, 문학적 비약과 합리적 추론 사이의 간극을 메우려는 방식으로 번역과 해설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스토리가 유기적으로 완성되는 형태로 번역이 되기 때문에 읽기 쉽고 저자만의 관점의 해설도 독자로 하여금 읽는 재미를 배가시키는 요소가 된다. 동시에 저자의 해설이 삼국유사의 본문 내용과 구별되지 않고 뒤섞인 형태로 서술되어 있는 것이 독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이번에 번역된 삼국유사를 다시 읽으면서 새삼 새롭게 느끼게 된 부분들이 몇 가지가 있다: 저자의 지적대로 유학자 김부식의 삼국사기 시대의 역사관과는 다르게 일연의 삼국유사 시대는 원나라 침략시기에 나온 민족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신화나 설화 형식을 취한 근거로서 타당해 보인다.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단순히 민족의식 고취용으로 보기엔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의 배경과는 일치되지 않고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다: 중국 불교 경전의 용어를 인용하거나 불교 관련 전설들을 다수 사용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불교 의식의 고취가 주된 목적이 아닌가 싶다.

흥미롭게도 중국 전통 사상인 도교나 음양오행 사상, 유교의 용어나 상징이 삼국유사의 본문에 다수 등장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논어의 충효사상이나, 도교에서 사용하는 상징인 용왕, 동서남북 중앙의 오방, 청적황백흑색의 오색 등이 대표적이다.

또다른 특이한 점은 불교 관련 용어에서 중국불교 경전과 인도 경전에 관한 이야기가 혼합하여 사용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도리천, 사천왕, 영취산 등은 중국 남북조시대에 완성된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용어라는 점을 봐서는 12세기 고려시대에서 중국불교의 지배력을 엿볼 수 있는 단서가 아닐까 생각된다.

아무래도 개인적으로 인상적인 에피소드를 말하자면 신라시대 호족세력과 왕의 권력다툼을 보여주는 진성여왕과 거타지 이야기, 신라의 3대 보물 황룡사의 장육존상, 9층탑, 진평왕의 옥허리띠 이야기, 불국사와 석굴암을 지은 신라 재상 김대성의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전반적으로 삼국유사의 유기적인 번역과 해설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접근하기 쉬운 역사해설서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