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크의 정부론 - 권력의 기원을 찾다 ㅣ EBS 오늘 읽는 클래식
김성우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1년 12월
평점 :

이 책은 17세기 사상가 존 로크의 저서 ‘정부론’에 포함된 이념과 사상의 본질을 설명하고 후대의 사상들에 끼친
영향들을 서술한 책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크게 두 세 부분으로 나누어, 존 로크의 ‘자유주의’ 사상과 관련된 사상들의 역사적 발달 과정과 영향들을 살펴보고, 존 로크의 저서 ‘정부론’의
내용을 정리하며, 후대 사상들의 저작과 주요 주장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소속 상지대학교 김상우 교수이다.
---
선거철이 가까운 요즘처럼 방송미디어 매체를 통해 이보다 많이 그리고 자주 접하게 되는 정치 관련 용어들은 없는
것 같다: 신자유주의, 시장경제, 공정, 능력주의, 부의
불평등, 양극화 등이 대표적인 단어들이다.
이런 현대 사회의 정치 용어들의 대부분이 존 로크의 자유주의 사상에 근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면, 흥미를 갖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런 종류의
흥미 유발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 점은 이 책이 가지는 여러 장점 중에 하나이다:
단순히 17세기에 활동했던 영국의 사상가 존 로크가 남긴 저서 ‘정부론’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소개하는 수준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당시 시대적 배경에 대한 지식과 현대 정치 환경에서도 전해 내려온 흔적들을 함께 설명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이해를 한 차원 높이게 만들어 준다:
존 로크의 생애와 당시 시대 상황에 대한 배경 설명과 함께 저서 ‘정부론’이 가지는 내용을 이해하면 임팩트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게 된다.
또한 정치 스펙트럼에서 차지하는 다양한 정치 사상들만의 특징과 차이점들을 비교함으로써 존 로크의 사상의 영향력을
새삼 느끼게 된다.
물론 저서 ‘정부론’의
내용도 당시로서는 파격적이고 급진적인 주장일 수 있는 당시의 시대적 관점과 지극히 보수적으로 간주되는 현대적 관점 모두에서 바라보는 해설을 제공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중립적인 시각을 가지고 접근하게 만들어 준다.
이 책에 대한 개인적인 느낌은 아무래도 비슷한 성격의 시리즈 물인 일본의 이와나미 문고 시리즈를 떠올리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이제야 비로소 일본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을 갖춘 교양 철학 사상 시리즈물이 탄생한 것 같아서
감회가 남다르게 다가온다.
전반적으로 근대 자유민주주의 정치와 자본주의 사상과 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을 철학적 원리에 근거하여 충실히
소개하는 훌륭한 철학교양서라는 생각이 든다.

*** 이 글은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