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 - 장군, 상인, 지식인
미할 비란.요나탄 브락.프란체스카 피아셰티 엮음, 이재황 옮김, 이주엽 감수 / 책과함께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몽골 제국 시대에 동양과 서양 간의 교류를 담당했던 육상과 해상의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교역 루트의 형성 과정과 교류 방식이 변화되는 과정에 대해서, 몽골 제국 사회의 역사와 함께 당시 몽골 제국의 엘리트(장군, 상인, 지식인)의 삶을 통해 서술한 책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몽골 제국의 3개 직업군에 종사했던 15명의 인물들의 삶의 궤적을 따라가며, 몽골 제국의 역사적 변천에 따라 실크로드의 형성과 이용 형태의 변화되는 모습을 다양한 역사서에 기반하여 기술하고 있다.


저자는 서울대 동양사학과 김호동 교수 외에 몽골제국 관련 분야의 세계적 역사전문가가 참여했다.

---

우리가 막연하게 알고 있는 실크로드는 한()나라 때부터 중국의 장안에서 시작하여 중앙아시아를 지나 아랍이나 동유럽을 거쳐 이탈리아 로마에까지 다다르는 머나먼 무역 경로의 이미지가 강하다.


그런데, 실크로드에는 크게 2가지 경로가 있다: 육상 경로와 해상 경로. 육상 실크로드는 2천년 전부터 사용되었지만 해상 실크로드는 만들어진 지 불과 600년이 넘지 않는다. 왜 해상 실크로드가 뒤늦게 만들어졌을까?


실크로드를 통해 물건뿐만 아니라 사람, 지식, 문화 등이 교류되고 전파되었다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과연 누가 전달한 것일까?


여기에는 약 160년간 존속했던 몽골제국의 변천사가 해상 실크로드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며, 이 책에서 묘사하고 있는 인물들이 바로 몽골 제국 시기에 교류의 경로를 만들어 내고 실제 교류를 진행시키며 활약한 몽골 제국의 엘리트 인물들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13세기 당시 가장 빠른 교통 수단인 말을 타고 동쪽 경계선에서 서쪽 경계선까지 도달하는데 1년이 넘게 걸리는 광활한 영토를 확보하고 효율적인 운송로를 개척하지만 어쩔 수 없이 권력 다툼에 휘말리는 인생을 살게 되는 군인 장군들; 복잡한 정치 상황이 난무하던 중앙아시아 지역을 피해 흑해와 인도양을 거쳐 동남아시아 연안을 지나는 안전한 해양 무역 경로를 이용하는 다국어 구사 능력자인 상인들; 아무리 종교의 자유가 허락된 몽골 제국이지만 전통적인 종교인 이슬람과 불교, 기독교가 몽골 정권에 맞게 살아남기 위해 치열하게 학문을 수입하고 보존하기 위해 참여했던 학자들의 삶에서 당시의 몽골 제국 사회의 모습을 그려볼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원 왕조의 쿠빌라이의 색목인 우대 경향이나 14세기 들어 벌어지게 되는 칭기스 칸의 3세대 후손들의 권력다툼으로 인한 견제와 충돌, 몽골 왕조의 종교적 관심사가 빚어내는 역사적 흐름이 개인들의 활동을 극적으로 달라지는 모습들이 다양하게 묘사된다.


전반적으로 몽골 제국 시기의 정치, 군사,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실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