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서가명강 시리즈 14
박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근대 일본 역사의 중요한 사건인 메이지 유신과 관련된 핵심 사무라이 인물 4명의 활동을 통해 메이지 유신의 배경과 실현 과정을 유기적으로 서술한 책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메이지 유신 당시의 일본 사회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메이지 유신의 성공에 기여한 4명의 사무라이(요시다 쇼인, 사카모토 료마,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의 생애와 업적을 총 5개 단원에 걸쳐 기술하고 있다.


저자는 서울대 국사학과 박훈 교수이다.


---


오늘날의 한국과 일본의 결정적 차이를 만든 역사적 사건으로 19세기에 일어난 메이지 유신을 꼽는데 다수의 역사학자와 전문가들이 일치한다.


전통적으로 기존의 역사서에는 막부 말기 존왕양이를 주장하는 하급 사무라이 계층의 주도로 이루어진 개혁 사건으로 묘사되는 것으로 그칠 뿐 당시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무슨 의미가 있는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도대체 메이지 유신이 무엇이길래 위대한 업적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일까? 왜 이 책은 하필 4명의 사무라이를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것일까?


역사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개혁은, 특히 성공적인 개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들이 필요한지를 깨닫게 해준다


단순히 차별과 억압을 당하던 피해계층이 일거에 혁명과 반란을 일으키는 것만으로는 성공적인 혁신으로 이어질 수 없다

사익이 아닌 공익을 지향하는 애국심과 강력한 지도력, 장기적인 안목과 냉철한 현실판단력 등을 갖춘 주도적인 인물에 의해 추진될 때 성공적으로 완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4명의 사무라이는 공통적인 출신 성분이나 사상적 이념을 가지고 자신의 인생 동안 일본 사회와 정치 체제 개혁이라는 목표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어쩌면 메이지 유신이라는 거대한 작업을 마치 이어달리기처럼 연계해서 완수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19세기 폐쇄된 농업국가 일본 입장에서 아시아를 향해 밀려오는 서양 열강 제국들의 정세를 파악하고 생존의 차원에서 일본의 부국강병과 주변국의 식민지화라는 파격적인 전략을 주장한 요시다 쇼인; 열혈 개혁 세력이지만 원수지간 이었던 사쓰마 번과 죠슈 번의 화합을 온갖 난관 끝에 이끌어낸 사카모토 료마; 메이지 유신의 성공에까지 이끌지만 급진 사무라이 세력과 기존의 기득권 사무라이 계층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되는 사이고 다카모리; 오직 부국강병의 목표를 위해 사심을 버리고 인생을 바친 오쿠보 도시미치.


물론 한국인 입장에서 이들의 활약과 업적을 바라보는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충분히 배워야 할 점들도 많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저자도 지적한 내용으로 국가 내부적인 소요 사태에 대해 외국의 도움을 받아 사태를 해결하는 것은 진정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스스로 망하는 지름길이라는 역사적 교훈이 가장 인상적인 대목이다.




전반적으로 메이지 유신이라는 일본 근대 역사적 시기를 당시 주도적 인물의 활동을 통해 유기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