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은 어떻게 무기가 되는가 - 세상 모든 것을 숫자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다카하시 요이치 지음, 김정환 옮김 / 센시오 / 2020년 6월
평점 :

이 책은 일상 생활 속에서 단순한 수준의 수학을 사용하여 슬기롭고 경제적인 활동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배경 지식이나
사고 방식과 방법을 서술한 책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일상 생활에서 수치가 통용되는 부분(회계, 경제, 업무, 뉴스, 예측 등)을 중심으로 필요한 수학적 내용(확률과 통계) 과 배경 지식(회계와
경제 지식)을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5개 단원에 걸쳐
서술하고 있다.
저자는 일본의 수량 정책학자인 다카하시 요이치이다.
---
‘문과 바보는 세상이 숫자로 움직인다는 걸 모른다.’ 이 책을 광고하는 선전 문구이다.
개인적으로 이과출신이라 왠지
모를 상대적 안도감을 느끼며 책을 보기 시작했지만, 중간쯤 되어서야 비로소 깨닫는다: 나도 ‘문과 바보’에
속하는구나.
책에서 다루는 분야는 다양하지만, 실질적인 용도로 활용 가치가 높은
내용들이 많다:
예를 들면, 회계와 경제 원리 내용은 경제
영역에서 수지 타산을 따져 볼 때나 경제 뉴스 기사 내용의 진위를 따져 볼 때 도움이 될만하다.
물론
여러 가지 다양한 거시 경제 요소들이 작용하지만, 최소한 상관관계가 있는 경제 요소나 지표를 알고 나면, 경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특히, 회사 업무 영역에서도,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작성할 때, 반드시 경우의 수를 구체적으로 나열한다든지, 일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계 자료를 만들어 제시한다든지 하는 것은 상당히 유용한 기술이라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흥미롭게 느낀 대목은 ‘확률적 의미를 따져보라’는 부분이다:
객관적 축적 데이터가 많으면 좋겠지만, 경험 데이터라도 사용해서 계산을 해서, 운에 맡길 만한 성격의 일인지
조금이라도 노력을 더해 성공적인 확률이 높아질 수 있는 성격의 일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측정 데이터를 대략의 비율로 환산하여 이해하는 것이 업무나 사건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접근 방법 중에 하나라는
것도 인상 깊다.
전반적으로, 평소에 미처 생각해보지 않았던 생활적인 부분에 대해, 새롭게 바라보고 파악하게 되는 관점과 지식을 생기게 해주는 내용의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