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르베다의 과학
아차리아 발크리쉬나 지음, 김성희 옮김 / 글로벌콘텐츠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인도의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 의학에 대해 현대 의학의 관점과 기준에서 소개하고 설명한 책이다.


책의 구성과 내용은 아유르베다 경전의 소개와 아유르베다 전통의학의 의학적 세계관과 건강 관리법과 식이요법, 질병의 분류와 요가를 포함한 전통 치료법 등에 대해 총 10개의 단원에 걸쳐 서술하고 있다.


부록으로 아유르베다 관련 용어와 해설이 실려 있다.

---

한국에는 전통 의학인 한의학이 있듯이 인도에도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 의학이 존재하는데, 이 책은 아유르베다 의학의 철학적 배경과 의학적 원리를 현대 의학적인 지식으로 풀어서 설명한다.


현대적인 생리학이나 해부학적인 지식에 근거해 전통적인 질병 치료법이나 약재 성분의 역할을 해설한다

예를 들면, 신체 조직인 삽다다투의 체내 신진대사 활동이나 식재료의 맛(라사)에 따라 달라지는 성분과 관련된 영양분의 작용 등이다.


아무래도, 서양 의학과 대비되는 비슷한 성격의 전통의학인 한의학과 아유르베다 의학을 비교하여 생각하게 된다:

일종의 심신과 외부와의 평형을 이루는 조화로운 상태를 건강한 상태로 보고 있고 궁극적인 목표는 사전 예방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수술 같은 서양 의학의 처치료가 중심이 아니라는 점이 유사해 보인다.


아유르베다 의학이 다루는 범위가 질병 진단과 치료에만 머무르지 않고 일상 생활의 측면으로 보다 포괄적인 범위로 확대된다

평소에 먹는 음식 궁합과 식습관, 수면법,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신적 수련 등이 포함된다.


특히, 요가 수행이 약치료나 식습관처럼 하나의 심신의 치료 방법으로 제시된다는 점이 흥미로운 부분이다

개인적으로는 요가를 할 때 자세와 호흡법이 왜 중요한지, 명상이 왜 필요한지가 궁금했었는데 간략하게나마 이에 대한 이유를 알게 된 점이 만족스럽다.


유일한 단점은, 책의 내용이 어렵다는 점이다

아유르베다 의학이 기반으로 하는 의학적 세계관은 인도의 전통 종교인 힌두교의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5원소론, 트리단다, 판챠코샤, 챠크라 등은 힌두 사상과 요가 명상 수련 방식에도 사용되는 개념들이기도 하다.


비록 어려운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인도 전통의 음식 재료나 건강한 생활 습관과 운동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