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블이 설계한 사소하고 위대한 과학 - 슈퍼 히어로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세바스찬 알바라도 지음, 박지웅 옮김 / 하이픈 / 2019년 11월
평점 :
이 책은 마블(marvel) 영화사의 영화들에 등장하는 슈퍼 히어로들과
도구들의 능력에 대해, 영화적인 설정과 작동 원리를 해설하고 현실적인 과학적 구현 수준 단계의 기술적
차이를 함께 서술한 책이다.
책의 내용과 구성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에 등장하는 슈퍼
히어로와 도구들이 구사하는 능력을 10개의 범주로 나누어, 각
범주마다 관련된 히어로가 등장하는 영화 소개와 영화 속에 설정된 원리를 해설하고, 현실 속 구현가능
단계의 과학 기술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10개
단원에 걸쳐 서술하고 있다: 복잡한 두뇌; 신비한 생물들; 예민한 신경 과학; 기이한 생리학;
놀라운 기계 공학; 가차없는 맹공; 경이로운
역학; 위력적인 무기; 환상적인 물리학; 눈길을 사로잡는 첨단 기술.
---
개인적으로 다수의 마블 영화를 봤었지만, 단순한 공상 만화를 실사화한
영화 정도로만 생각했지, 이렇게 많은 부분에 과학적 원리가 적용되었으리라고는 미처 생각지도 못했다.
마블 영화사의 영화 속 세계에서 펼쳐지는 주인공들의 절대 초능력과 마법처럼 부리는 도구들이 실제로는 합리적인
과학적 원리에 의거한 상상력의 산물이라는 점이 매우 놀랍고 인상적이었다: 예를 들면, 맨티스가 인간의 공감 능력을 위해 사용하는 더듬이의 기능, 타노스가
파워 스톤을 사용할 때 나오는 보라 빛 등이 대표적이다.
저자의 말마따나 마블 스토리의 작가나 연출진이 현재 최신의 과학 기술 트렌드인 뇌과학, 유전공학, 양자역학 분야에 특히 관심이 많은 것 같아 보인다: 슈퍼 히어로들의 초능력을 설명하는데 많이 언급되며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마블 세계관의 다양한 사례들이 소개된다: 개인적으로는 기본적인
정확한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마블 영화 속 장면들을 이해하는데 한증 더 다가선
느낌이다:
평소 궁금했었던 타노스의 핑거 스냅, 셀레스티얼 외계인과 지구인의
결합, 캡틴 아메리카의 방패와 블랙팬서의 수트의 재질로 사용된 비브라늄에 대해 알게 되어 반가웠다.
처음에는 별거 아닌 것처럼 보였는데 알고 보니 정교한 작동원리가 숨어 있었던 사례도 있었다: 어벤저스2(에이지 오브 울트론)에
나왔던 ‘정신지배’ 기술과,
닥터 스트레인지와 어벤저스3(인피니티 워)에
나왔던 ‘아가모토의 눈’ 기술이 인상적이었다.
물론, 모든 마블 세계관의 현상과 능력 설정을 이 책에서 다루지는
않지만, 전반적으로 마블 영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개인적으로, 어벤저스4(엔드 게임)의
타임 머신의 우주관에 관한 설명이 포함되지 않은 부분과 등장 인물의 그림이 빠져 있는 것이 아쉬웠는데, 비공식
출판물임을 밝히고 있는 걸로 봐서는 영화 속 등장 인물의 이미지를 책 속에 포함시키지 않는 이유인 걸로 해석된다.
마블 영화를 좋아한다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