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와 나오키 1 - 당한 만큼 갚아준다 한자와 나오키
이케이도 준 지음, 이선희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은행 업계의 고유한 특성을 배경으로, 은행 조직의 전통적 관행과 문화가 변해버린 국제경제의 환경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조직과 사회의 부조리와 부당함에 저항하여 맞서는 어떤 은행원의 활약을 담은 소설이다.

일본 거품경제 시대의 끝자락 무렵, 장래 은행장의 야망을 갖고 도쿄중앙은행에 입사한 한자와 나오키는, 입사한지 10여 년이 지나 오사카서부 지점의 융자과 과장으로 발령받게 된다. 지점장의 지시로 신규 고객 업체인 서부오사카 철강 회사에 대한 융자 신청이 접수되고, 융자 심사를 책임지고 있던 융자과 과장 한자와가 미처 손쓸 사이도 없이, 신규 융자 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5억엔의 신규 대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한자와는 의심과 불만을 품게 된다. 그로부터 5개월쯤 지났을 때, 신규 융자해줬던 서부오사카 철강 회사가 1차 부도를 내게 된다. 은행 안에서는 융자 심사 책임자인 한자와가 대출 책임의 원인으로 몰리게 된다. 은행 조직 내의 책임 회피 문화로 자신이 희생양의 처지가 된 것을 알게 된 한자와는, 대출 채권 회수를 함으로써 억울한 누명을 벗어나기 위해, 동분서주하게 된다. 이미 서부오사카 철강 회사의 사장과는 연락이 두절되어 버렸고, 회수할 수 있는 철강 회사의 자산은 없는 상태. 연쇄 부도를 맞게 된 철강 회사의 거래 업체의 사장에게서도 별다른 소식을 얻지 못한 한자와는 철강회사와 거래 업체 사이의 매출 금액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우연한 기회에 알게 된다. 한자와는 철강업체의 경리부장을 만나 이중장부를 만들어 의도적으로 매출을 부풀려왔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한다. 한편, 내부 감사 회의 자료를 준비하던 중에 우연하게도 철강회사 융자금의 부동산개발회사로의 송금 전표를 발견하게 된 한자와는, ‘고의 부도임을 의심하게 된다. 한자와는 대출 융자금의 흐름을 쫓는 와중에, 철강 회사의 고의 부도를 기획하고 조정한 인물의 존재를 맞닥뜨리게 된다. 과연 한자와는 무사히 융자금을 회수하고 자신의 누명을 벗을 수 있을까?

이 책의 저자는 일본에서 소위 금융 미스터리소설 장르의 작가로 알려진 이케이도 준으로, 실제 자신의 은행 근무 경험을 살려, 작품 속에서도 치밀한 묘사와 은행 업종의 부조리한 관행과 문화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담아내고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은행 조직 내의 업무 처리 방식이나 관행, 진급 문화 등을,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면서, 특히 정부 공무원 관료 체제와 유사하게 비교하며 부정적인 면을 지적하는 점이 인상적이고 흥미로운 대목이다.

기업의 재무와 은행 업무 사이의 관계를 따라, 돈의 흐름을 쫓아가는 이야기 전개 방식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면서도 사건의 다음 단계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미스터리 구조의 이야기에 흡입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본과 비슷하게 회사의 수직적 조직 문화를 가진 한국의 입장에서도 충분히 공감이 가는 대목이 많이 등장한다: 비단 은행업종뿐만 아니라, 일반 회사원이 겪는 직장 내에서의 조직 문화와의 충돌이나 승진이나 진로에 관한 고민, 가족 부양에 대한 걱정을 입사 동기인 친구들과 서로 공유하면서 위로하기도, 위로 받기도 하는 일상적인 삶의 모습도 자연스럽게 그려내고 있다.

한편, 일본 작가답지 않게, 상사와 부하직원 사이의 과감한 언쟁이나 치고 받는 액션에 대한 묘사까지도 서슴지 않고 구사한다는 것도 인상적인 부분이다.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금융관련 추리물이 전무한 상황에서, 이케이도 준의 작품은 부럽게만 느껴진다.

드라마로 먼저 접한 바 있지만, 소설이 주는 몰입 감과 흡입력도 매력이 대단하다. 다음 한자와 시리즈도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