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전쟁 378~1515
찰스 오만 지음, 안유정 옮김, 홍용진 감수 / 필요한책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중세 시대 유럽 국가들의 역사를 통해 군사 제도와 사회적 변화, 도입된 병장기 기술의 변천사들을 고찰한 책이다.

책의 구성은 군사 기술 역사의 흐름에서 상징적인 2가지 역사적 전투(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와 마리냐노 전투)의 발생 시점 년도를 처음과 끝의 범위로 삼고, 중요한 군사적 변화를 기준으로 각 시대 별 군사 제도와 무기에 변화에 따른 사회 제도와 전술의 특징을 기술하고 있다: 서로마 제국과 동로마 비잔티움 제국, 프랑크족과 앵글로색슨족,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봉건 시대, 스위스 용병 군대, 잉글랜드, 그리고 중세 시대 이후의 군사적 변화.

전통적인 로마 제국의 보병 군단병 체제의 유산을 물려받은 서로마 제국의 이른바 기병대 중심의 고트족의 침략을 계기로 군사 체제의 변화와 로마제국의 분열이 시작된다.

중세 시대 초기의 서유럽에서도 비잔틴 제국의 궁기병의 영향으로 프랑크족과 앵글로색슨족도 11세기 초까지 기병대 중심의 군대 조직으로 재편된다.

중세 시대를 거치는 동안 비잔티움 제국은 주변의 강력한 침략자인 슬라브족과 이슬람 세력들에 맞서 대항하기 위해 보병의 중장기 무기, 기병의 전술과 편제를 개발하고 이슬람의 공성 무기와 공략 기술들을 수입하게 된다.

봉건 시대 사회에서는 각각의 봉건 영주 단위로 조직한 보병 군대의 규율과 전술 등의 총체적 능력이 떨어지자 귀족출신의 기병 중심의 편제와 봉건 기사의 출현으로 이어지지만 전략과 전술이 없어서 비효율적인 군대가 되고 만다. 봉건 왕국의 국왕은 고비용의 용병제를 선호하게 된다. 특히, 각 영주의 성을 공략하는 방법은 십자군 전쟁 이전까지 공성법과 공성 무기보다는 포위작전이 통용된다.

14~15세기 기병위주의 중세 시대 서유럽 국가들의 군대에 맞서 강력한 근접용 백병전 중병기와 방어구로 무장하고 용맹한 규율이 잡힌 보병과 궁기병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군대를 편제한 스위스는, 독특한 진형과 전술을 사용하여 서유럽 왕국들의 용병과의 다양한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다. 결국, 맹위를 떨치던 스위스 군대도 르네상스 이후에 과학 기술에 의해 개발된 포병 화기를 사용한 전술 앞에서 몰락하게 된다.

잉글랜드에서는 14세기부터 쇠뇌를 이은 장궁을 사용한 궁병대와 전술이 정착하게 된다. 15세기에 잉글랜드가 프랑스와 벌인 전쟁에서 장궁병대의 위력으로 프랑스 기병대를 무찌르지만, 잔 다르크의 활약으로 전세가 역전되어 프랑스 기병 전술의 발달을 가져오게 된다. 장미전쟁 이후로 잉글랜드는 더 이상 전쟁보다는 외교와 지원의 수단을 사용하며 내정에 집중하게 된다.

르네상스 이후 유럽에 등장한 화력 무기와 화포 무기로 무장한 보병 부대의 활약은 독일의 기독교 세력의 보헤미아인과 오스만 제국의 등장을 가져오게 된다.

-------------------------------------------------

전쟁사라는 주제의 희귀성 때문만이 아니라, 전쟁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측면에서도 이 책은 읽을 가치가 충분하다:

사회 제도와 군대 제도, 그리고 군사 무기 기술과 전략의 발전이 상호간에 요인으로 작용하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서로마제국의 모병제와 중장기보병 편제가 고트족의 기병제에 의해 정복당하거나 중세 시대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봉건제도 하에서 군사적 약세인 왕이 도입하게 된 용병제도는 왕실의 과도한 재정 지출과 용병들의 약탈이라는 부작용을 가져오게 된다.

이 책에서는 중세 시대의 지루했던 전쟁의 역사가 중세 국가들이 당시 처한 사회 제도 하에서 최선을 다해 펼쳤던 군사 작전과 무기의 대결이 벌어지는 현장의 묘사로서 흥미롭게 다가온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