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끝내는 재무제표 사용설명서 - 기업의 건강한 자산 증식과 관리를 위한 재무제표의 바이블
홍성수.김성민 지음 / 새로운제안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재무제표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 기업의 경영성과를 평가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기술한 책이다. 책의 내용은 5개 부분(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사업계획 수립, 경영분석 보고서 작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크게 2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3가지 재무제표에 관한 설명과 재무제표의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활용법. 부록으로 회계 용어에 대한 정리가 수록되어 있다.

책에서 예시하는 기업 재무제표로서 삼성전자의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도 특색 있다.

[손익계산서]에서는 각 항목들에 대한 설명과 매출액을 이용한 수익성 지표들, 기업의 금융 건전성 평가를 위한 금융비용 처리 지표와 이자보상비율, 그리고, 주가수익비율과 성장성 지표들을 소개하고 있다.  

[재무상태표] 에서는 기업의 자산, 자본, 부채 항목들에 대해 설명하고 재고와 채권, 매입 채무와 부채가 기업 경영에서 가지는 의미, 그리고 자금 조달의 안정성 평가 지표를 소개하고 있다.

[현금흐름표] 에서는 3가지 기업 경영활동을 나타내는 현금흐름에 대해 설명하고, 현금 항목이 나타내는 경영 의미 해석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투자현금활동이 거액의 (-)이면, 설비투자와 사업다각화에 투자했다는 사실을 가리키고, 이것의 의미는 회사의 미래의 밝은 전망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사업계획 수립] 부분은, 재무제표의 내용을 이해한 후에, 향후 사업 계획에 필요한 목표와 전략을 세우는데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손익분기점 매출액과 목표 매출액을 계산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판매단가를 인상하거나 구매단가나 인건비를 인하하거나 품목의 다각화 등의 방법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영분석 보고서 작성] 부분은, 금융 기관의 입장에서 기업의 재무 상태와 신용을 평가하는데 관련된 지표들을 소개하고 있다: 안전성 지표; 수익성 지표; 생산성 지표; 상환능력 지표.

 

 

이 책은 주로 재무제표의 개별적 항목의 상세한 설명과 작성 방법보다는 재무제표 항목의 간략한 설명과 기업 경영 성과로서의 평가 지표 활용 방법과 경영 전략들을 소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기업의 경영자 입장뿐만 아니라 기업에 투자하는 주주나 기업의 재무 능력과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입장까지도 관련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예를 들면, [손익계산서]를 활용해서 계산하는 이자보상비율은 재무건전성을 평가하고, 수익성 지표는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주가수익비율은 투자자로 하여금 투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이다.  

이 책의 목표가 회계를 몰라도 사업계획서와 재무제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라고 머리말에서 저자는 밝히고 있는데, 매우 부합하는 내용과 적절한 구성이라고 본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재무제표의 의미를 활용하는 관점이 [회계를 처리하는 관점]에 치우쳐서 해석하는 방법들을 소개한다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예를 들면, 개인보다는 금융기관에서나 사용하는 [경영분석보고서] 보다, 어차피 기업 공시를 통해 재무제표와 사업보고서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업보고서에 기술된 삼성전자의 경영활동과 재무제표 항목을 직접 연관 지어 설명하는 내용이 예시되었으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전반적으로 재무제표에 대해 상세한 설명보다는 간략한 이해와 해석에 적합한 책이라고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