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19
막스 베버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가 발표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제목으로 발표한 2편의 논문을 완역한 책이다. 책의 구성은 2편의 논문과 부록으로 카를 피셔의 비판에 대한 2차례 반박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첫 번째 논문에서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의 기원과 자본주의 정신에 관한 주장을 담고 있다. 베버는 유럽과 미국에서 개신교도들의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이 경제적으로 발달한 20세기 초반의 사회적 현상에 대해 기존의 사회학적인 이론들의 무용함을 지적하며 문제제기를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베르너 좀바르트가 발표한 [개신교의 윤리가 근대 자본주의적 사고에 의해 야기된 결과]라는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 베버는 정반대의 주장을 내세웠다: 근대 자본주의 기업가의 행동과 윤리는 개신교의 특히 청교도의 행동 윤리와 유사하며, 종교적인 지향 대신에 공리적인 목표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사업가로서 18세기 활동했던 미국의 철학자이자 발명가인 벤자민 프랭클린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베버는 공리주의자인 벤저민이 주장하는 돈을 합법적인 한도 내에서 최대한 많이 버는 것은 경제 질서 안에서 표현되는 직업적 유능함의 결과라고 하는 근대 자본주의 기업가의 행동과 윤리의 기준이 공리주의에 기초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칼뱅주의의 금욕주의에 기초한 합리적인 생활 태도와 윤리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두번째 논문에서는, 4개의 개신교(칼뱅주의, 경건주의, 감리교, 재세례파 계열)의 각 종파별로 역사적 배경과 교리의 특징을 살펴 보고, 교리적 해석이 신도들의 삶의 태도와 윤리에 끼친 영향과 자본주의로의 연결로 이어지는 관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베버는 개신교의 교리에서 직업소명설구원예정설에 대한 해석을 통해 금욕적인 삶의 태도와 부정한 방식이 아닌 합리적인 생활 양식을 유지하면서 직업에 충실한 노동을 추구하여 부를 저축하고 축적된 부를 낭비하지 말고 합리적이고 공리적인 일에 사용함으로써 하느님의 영예를 높이는 것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것이 구원에 대한 증거이자 보상으로 간주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베버는 청교도의 금욕주의적 태도와 직업의식에서 출발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종교적 목적에서 공리적인 목적으로 대체되면서 근대 자본주의의 근간이 되는 근면과 경쟁, 건전한 영리적 활동이 마련되었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발표된 지 100년도 지났지만 베버의 원본 논문을 완역한 책이라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특히, 역자의 친절한 주석의 설명과 해설이 아니었다면, 페이지를 쉽게 넘기지 못했을 것이다. 아무래도, 개신교의 교리와 중세 역사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이해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을 통해, 욕심 내지 않는 금욕적인 생활자세와 정당하게 최선을 다해 돈을 벌라는 어찌 보면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된 원칙들이 평화롭게 결합되는 순간을 깨닫게 되는 신기한 체험을 맛볼 수 있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