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선비 당쟁사 - 사림의 등장에서 세도정치까지, 선비들의 권력투쟁사로 다시 읽는 조선 역사
이덕일 지음 / 인문서원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조선시대 정부의 권력을 두고 유학 사림세력들이 붕당정치를
통해 일으켰던 당파 투쟁의 역사를 기술한 책이다. 책의 내용은 조선 시대에서 사림 세력의 탄생부터 조선
왕조가 끝나는 한일합방 시기 직전의 세도정치까지 붕당정치 역사를 중심으로 조선의 정치 역사를 기술하고 있다. 책의
구성은 8개 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림의 집권과 동서분당; 공존의 틀; 대동법과 군역법 논쟁;
공존에서 배척으로; 정치공작의 악순환; 과거사
정쟁; 새로운 미래를 향해서; 세도정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중종 때부터 등장하는 이른바 유교 사림의 세력화로부터 선조 때 동인과
서인이 분열을 계기로 본격적인 붕당간의 권력 다툼이 시작을 그리고 있다.
두 번째 부분에서, 선조의 세자 책봉 문제로 동인이 분해된 북인과 남인, 그리고 임진왜란을 거치며 다시 북인에서 대북과 소북으로의 분열을 거쳐, 인조
반정을 통한 대북파의 소멸과 서인과 남인의 연합 정권 수립을 다루고 있다.
세 번째 부분에서, 토지 세금 개혁안인 대동법과 군역 개혁안인 균역법에 대해 치열하게 맞서는
서인과 남인의 대립과, 서인 내에서의 소수파 한당과 다수파 산당의 분열 모습을 기술하고 있다. 대동법이 광해군에서 시작되어 숙종 때 완전 시행되기까지 100년이
걸렸다는 것이 사림세력들의 지난한 반대 때문이었다는 것과 군역법은 영조 때까지도 양반과 양민의 군역평등을 이루지 못하게 되어 결국 조선 중기 이후의
사회적 양상인 ‘신분제 해체’의 흐름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저자의 해석이 인상적이었다.
네 번째 부분에서 ‘문묘종사’와 ‘예송논쟁’을 계기로 벌이는 서인과 남인 세력의 정치 논쟁과 북벌을
통해 남인의 청남과 탁남의 분열, 경신환국의 서인 집권의 양상을 담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숙종이 당쟁을 부추기는 왕이었다는 생각과 함께 과연 내가 15살
지금의 중3정도 나이에 왕이 된다면 과연 68세 여당 당수를
귀향 보낼 수 있는 담력이 있을까 하는 생각에서 숙종을 다시 평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섯 번째 부분에서 숙종 때 재집권하게 된 서인의 노론과 소론의 분당과 기사환국으로 다시 남인 정권이 재등장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서인 때부터 그랬지만 노론 역시 조선의 왕을 왕으로 여기지 않고 제1등
사대부 계급으로 생각한다는 저자의 견해는 놀랍지만 매우 타당성 있게 제시되고 있다.
여섯 번째 부분에서 노론의 힘을 등에 업고 등극한 영조가 펼치는 파란만장한 노론과 소론, 남인
사이의 싸움과 사도세자로 인한 시파와 벽파의 분열이 소개되고 있다. 영조와 사도세자 사이의 일은 읽을
때마다 항상 가슴이 먹먹해진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소통과 사랑의 간극이 너무 크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하고 슬픈 일인지 다시 한번 느끼게 되는 대목이다.
일곱 번째 부분에서, 영조의 뒤를 이어 탕평책을 채택하여 조정의 안정을 추구하려 했던 정조의
모습이 기술되고 있다. 저자가 정조관련 논란이 되고 있는 ‘정순황후의
독살설’을 소개하는 점은 특이하게 느껴지는 대목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순종과 고종에 이르는 조선 말기의 노론 일당 독재 시기를 조명하고 있다. 일본에
의한 한일합방을 주도한 세력이 노론이었다는 점을 저자는 명백하게 밝히는 점은 매우 인상적인 부분이다.
전반적으로 조선 시대 정치사를 양반 세력, 유학 사림세력들의 정치권력 투쟁의 역사로써 기술하고 있어서 조선 시대 양반 사회의 양상을 그려내는 점이 훌륭하다. 특히 유학적 이념을 철학적 가치관에서 정치적인 이념과 개인적인 그리고 파당의 이익을 위한 정치 쟁점의 수단으로
활용한 양반들의 권력 투쟁의 활동의 모습은 오늘날의 정치 현장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 씁쓸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조선 중기 이후 정치 역사를 알고 싶다면, 이 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