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교실을 만드는 희망의 심리학 - 교실속 아이들의 심리 A to Z
김현수 지음 / 에듀니티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을 학교에 나오게 하는 힘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서 자발적으로 배우기 위해서 오는 아이가 10%라고 할 때, 교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중략)--- 어떤 요소가 이 아이를 학교에 오게 하는 힘인지, 대체로 학년이 바뀌고 한두 달이 지나면 파악할 수 있다. 파악이 끝나면, 교사는 이 비율을 아이들과 함께 긍정적인 상태로 조정해 나가야 한다. ---(중략)--- 교사가 교실을 분석하는 틀로서 교실기후(교실 분위기)와 교실무의식(교실 정신)을 파악하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중략)--- 아이가 학교에 나오게 하는 힘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교실에서 그 아이의 관계나 활동을 파악하는 기초자료이자 아이가 어떻게 행동할지 예측하는 기본 정보가 된다. (58~59쪽)

민주적인 학급을 만들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학교 폭력도 줄이고 학급도 활성화시키기 위해 강조하는 내용도 평균적인 아이들을 잘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아이들에게 자신의 발언권이 중요하다고 여기게 함으로써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의 말 공부 - 기적 같은 변화를 불러오는 작은 말의 힘 엄마의 말 공부 1
이임숙 지음 / 카시오페아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미 알고있고 평범하지만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것들을 다시한번 되짚어보게 반드는 책이다. 엄마의 전문용어 5가지 중 아이의 숨은 의도를 파악하고 알아줘야 한다는 내용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엄마로서도 배울 내용이 많았지만 교사로서 학교에서 아이들과 상담할 때 유용한 내용도 많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인 구달의 사랑으로
제인 구달 지음, 알랜 막스 그림, 공경희 옮김 / 웅진주니어 / 2002년 9월
평점 :
절판


오래 전에 제인 구달의 "유인원과의 산책"을 읽은 적이 있는데 그 책의 어린이판이라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초등 저학년부터 읽을 수 있는 책인데 그림책 치고는 글밥이 제법 있는 편이다.

 

책에는 제인 구달이 관찰한 침팬지들의 이야기가 동화 형식으로 담겨있다.

고아가 된 아기를 입양해 돌보는 미혼의 침팬지, 늙은 엄마를 돌보는 자녀 침팬지,

엄마가 죽은 후 슬픔에 겨워 삶의 의욕을 잃고 죽음을 맞는 어린 침팬지,

감기에 걸린 동생의 콧물을 닦아주는 형 침팬지의 정다운 모습까지...

 

알면 사랑하게 된다는 말이 있는데 침팬지의 경우에도 이 말이 딱 맞는 것 같다.

거창하게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가르치려 하지 않아도

아이들은 이 책을 읽으면서 인간 아닌 다른 생명체에 대해 알고 사랑하고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아이들은 굳이 배우지 않아도 다름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실천하게 되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의 말 공부 - 기적 같은 변화를 불러오는 작은 말의 힘 엄마의 말 공부 1
이임숙 지음 / 카시오페아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의 전문용어 1. 힘들었겠다, 2. 이유가 있을 거야. 그래서 그랬구나, 3. 좋은 뜻이 있었구나, 4. 훌륭하구나, 5. 어떻게 하면 좋을까? (p.32~p.53)

"네가 얼마나 훌륭한 사람인지 알아? 넌 어떤 일을 하든 항상 좋은 의도로 행동했어. 엄마가 속상할까 봐, 동생 버릇이 나빠질까 봐 걱정하는 좋은 의도가 있었어. 비록 결과는 좋지 않았지만, 이 또한 너에게 꼭 필요한 과정이라 생각해. 넘어지지 않고 걸음마를 배우지 못하잖아. 네가 걸음마 배울 때 몇 번 넘어졌는지 아니? 하루에 수십 번도 더 넘어졌지. 그때마다 넌 벌떡벌떡 일어났어. 넌 그런 아이야." (p.69)

- 학원 중독에 빠지는 단계 -

1단계 : 처음에는 호기심, 기대, 혼자만 안 다니는 데 대한 불안감, 주변 권유 등의 이유로 반신반의하면서 시작한다. 학원 교육에 반대하지만 함께 놀 친구가 없어서 할 수 없이 보내는 경우도 여기에 해당한다.
2단계 : 학습이 아닌 예체능으로 사교육을 시작한다. 그래도 학습 학원에는 보내지 않는다는 자부심을 지키는 것으로 위안 삼는다.
3단계 : 학원 정보에 예민해진다. 누가 학원 교육으로 좋은 성과를 냈다는 말을 들으면 그 말이 진실로 믿어지기 시작한다. 아이가 어떤 학원에 가면 좋을지 정보를 모으고, 학원 교육의 효과를 맹신하기 시작한다.
4단계 : 학원에 안 가면 불안하고 초조해진다. 어떻게든 학원에 보내기 위해 온갖 방법을 모색한다. 학원에 다녀야 안심이 되고 성적을 올리려면 더 많은 학원에 다녀야 한다는 신념을 갖게 된다. 공부하고 노는 것에서 인간관계를 맺는 것까지 학원 교육 안에서 이루어진다.
5단계 : 유아기에서 대학생활이 끝나고 취업할 때까지 20여 년 이상을 학원 교육에 몸과 마음을 다 바친다. (p.173)

A. 문제를 안 읽으니 또 틀리지. 넌 왜 맨날 그러니?
B. 전에 알던 문제와 같다고 생각했구나. 매번 문제가 달라지는데, 어떡하면 좋을까?

B는 아이가 전에 알던 방식으로 문제를 풀었음을 인정해주었다. 하지만 매번 문제가 달라지므로 앞으로 어떻게 할지 질문한다. 이 대화의 기본 형태는 이유가 있었음을 알아주는 전문용어에 속한다. 아이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앞으로 다양한 문제를 접할 때 어떤 노력을 하고 싶은지 질문하는 것이니 아이도 질문을 받고 생각하기 시작한다. (p.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모 에티쿠스 - 윤리적 인간의 탄생
김상봉 지음 / 한길사 / 199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나 지금이나 우리 사회에서 정의나 선은 강한 자의 권리다. 선이란 권력에 부수된 장식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선하게 살지 않는다 해서 누가 나를 비난할 수 있겠는가? 어차피 모든 도덕이 위선인 사회에서.
그러나 선하게 살아야 할 아무런 까닭도 이유도 없는 이 무의미하고 덧없는 세상에서도 선하게 살기 위해 고뇌하는 사람들이 어느 시대에나 있는 법이다. ---<중 략>--- 추수에 대한 희망 없이 선의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보상에 대한 기대 없이 세계에 대한 의무를 다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이 아무리 약하고 어리석은 것처럼 보인다 하더라도, 사실 인간의 역사는 이런 사람들 때문에 멸망하지 않고 지속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