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교사는 이렇게 가르친다
제임스 M. 배너 주니어.해럴드 C. 캐넌 지음, 이창신 옮김 / 풀빛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책의 제목을 보고 가슴이 설렜다. 교직에 들어선 지 10년째... 학생을 이해하고자 하는 마음과 교과에 대한 연구열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해 왔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발전과 변화 없는 내 수업에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는 날이 많아져 고민스러웠는데, 세상에~ <훌륭한 교사는 이렇게 가르친다> 이렇게 멋진 제목을 가진 책이 있었다니...!

그러나 집으로 배달되어 온 책의 내용은 나의 기대와는 딴판이었다. 나는 제목 중 "이렇게"라는 단어에 눈이 똥그래져서 특별한 수업 방법이 담긴 책일 거라고 지레짐작했는데, 이 책은 "The elements of teaching"이라는 원제 그대로 교사가 지녀야 하는 "가르침의 요소", 즉 교사로서의 마음가짐과 태도에 관한 책이었던 것이다. 제목만 보고 너무 흥분한 탓에 원제나 목차, 관련 리뷰 등을 꼼꼼하게 챙겨보지 못한 나의 불찰이었다.

다소의 실망을 안고 책을 읽기 시작. 찬찬히 읽어보니 책을 아주 잘못 산 것 같진 않다. 책은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설명하진 않지만 내 수업에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돌아보고 반성하게 하는 훌륭한 나침반이었고, 밑줄을 그어가며 한 장 두 장 읽어나가다 보니 앞으로 내가 지향해야 할 교사상도 보다 명확하게 정립되는 듯 하다.

책은 우선 누군가를 가르치는 일을 하나의 "예술"로 규정한 뒤 내용을 전개한다. 예술가가 끊임없는 연습을 통해 기량을 연마해 가듯, 교사도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질을 다듬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 교사가 다듬어야 하는 자질은 가르치는 요령이 아닌 인간적 요소라고 강조하며 그 요소를 9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9가지 요소 중 학습, 권위, 도덕, 질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교육에서 강조해왔던 요소이기도 하다. 맡은 과목에 능통하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 교실의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교사의 권위,사적인 이익이 아닌 학생의 필요와 이익을 우선시하는 도덕성,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의 질서...

그러나 이런 요소만 갖추었을 때 자칫 학습 분위기가 딱딱해지고 경직될 수 있다. 이 때 교사와 학생의 마음을 연결해주는 요소가 바로 상상과 연민, 그리고 이해이다. 상상과 연민은 자신이 학생이었을 때를 기억해 학생의 어려움을 헤아리고, 학생의 밝은 미래를 상상하여 성취욕구를 북돋아줄 줄 알며, 학습을 힘들어하는 학생을 질책하기보다 그 입장에 서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마음을 지닌 교사는 학생이 목표에 더디게 도달해도 기다려줄 줄 알고, 학생의 한계를 너그럽게 받아들일 줄도 알게 된다.

이런 요소들을 학생 앞에서 보일 때 연기가 아닌 자신의 내면에 인격화시켜야 한다는 것도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가르침을 실행에 옮길 때 학생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나열해 놓고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사실 한숨이 나오기도 한다. 교사 역시 한꺼풀 벗겨보면 나약한 인간에 불과한데, 완전무결한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윽박지르는 것만 같아 두려워지기도 한다.

저자는 이런 불만에 대해 "가르침의 요소는 우리 모두가 지닌 인간성과 다를 바 없으며, 교사는 가르치는 행위를 통해 인간성을 구현해 보이는 사람(p.205)"이라고 대답한다. "교사가 학생에게 바라는 바를 먼저 보여주는 것(p.208)"이 바로 가르침의 요소라고 덧붙이기도 한다.

사실 이런 대답이 불만을 완전히 잠재울 수는 없을 지 모른다. 저자는 맺음말에서 책 내용이 지나치게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구구절절한 설명을 덧붙이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9가지의 요소를 완벽하고 조화롭게 구현하기는 어려우리란 생각을 지울 순 없다.

하지만, 아예 모른 채 살아가는 것과, 도달할 수 없는 목표일지라도 마음에 품고 생각하며 사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존재한다. 제시된 요소 하나하나를 완벽하게 기억하진 못할지라도 아이들 앞에서 부끄러운 사람이 되지 않으려 노력하는 것으로 그 목표에 오르는 첫 걸음을 시작하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eeza 2007-09-10 0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가르친다는 것에 대해 무지 많이 생각해 보게 되죠~ 정답이야 없겠지만, 왠지 요즘들어선 무언가를 가르친다는 게 '편견'을 심어주는 게 아닌지 조심스러워지기도 해요.
뭐 아직은 교단에 정식으로 서는 게 아니라 생각만 하지만요...
님의 그 열정이 참 멋져요^^

logos678 2007-09-10 20:01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님의 칭찬이 부끄럽지 않도록 열심히 노력해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