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보고 나서 문득 생각난 것이 있다. 언제부터 사람들이 이메일을 안지우기 시작했을까? 난 근 5년동안은 메일을 지워본 적이 없다. 적어도 내가 아는 대부분의 사람들도 지우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자동으로 지워지는 일도 이젠 없다. 이제 메일을 '지운다'라는건 굉장히 적극적인 의사표현이다. 내 메일함에 계속, 영원히 담고 싶지 않은 확실한 거부.


한때는 메일을 보관할 수 있는 용량이 적었거나, 보관기간이란 개념이 있었기 때문에 메일은 지우거나 지워지는 것이었다. 혹은 메일 프로그램을 쓰면 메일을 전부 가지고 와서, 인터넷 서버에 더 이상 남아있지 않았다. 지금 생각하면 당연한 것이지만 내 컴퓨터에만 저장되 있다는건 언젠가는 100% 확률로 유실된다는 뜻이다. 나는 지금 내가 주고 받는 이메일이 내가 죽을때까지 지니고 있을 수 있을 거라고 아주 높은 확률로 확신할 수 있지만, 과거 한때, 3~5년정도의 메일은 완전히 이 세상에서 없어졌다.

그것에 아주 애절한 사연이 남아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끔 이 사실을 떠올리면 인생에서 작은 일부분이 상실된 거 같은 기분이든다. 나만 이런 사람은 아닐 것이다.


새벽 4,5시쯤 책의 중간쯤에서 한번 덮어버렸다. 이 책을 더 이상 보지 않는게 좋지 않을까란 생각을 했다. 결말이 특별히 궁금하진 않았다. 이 책을 어느정도 심드렁하게 보거나 독특한 형식의 연애 이야기정도로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나에겐 위험하단 생각이 들었다. 이 이야기는 내가 지나치게 감정이입을 할 가능성이 높아보였다. 책의 저자가 가장 정조준한 타입(의 남성)이 있다면 난 거기에 해당될 것이다. 레이케에겐 나와 비슷한 부분이 있고 나와 확실히 다르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이 많지만, 가끔은 내가 오해 받는 부분이 그와 비슷하게 보이는것들이 아닐까란 생각도 든다.


나도 어느정도는(!) 섹스보다 메일을 원할때(!)도 있는 사람이고, 나를 좋아해주는 사람들은 모두 언젠든지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좋아하는 것 같았다. 난 1년중 대부분 제정신이고 이성을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수다를 환영하고, 멜랑콜리나 우울증과도 거리가 상당히 멀고, 술을 마시는 등으로 해서 '오프라인'이 되는 일도 없다.


이들과 같이 순전히 메일로부터 시작하진 않았지만 내가 한 연애는 모두 상당한 양의 메일들을 동반된 것들이었다. 가끔은 우리가 특정 시기에 메일을 주고 받지 않았더라도 관계가 발전했을까란 의구심이 들 때도 있다. 연인에서 친구관계로 남은 몇몇(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는 두명이어서, 다행이다)은 여전히 나에게 남은 여생동안 충분히 기억할만하고 인간적인 애정이 듬뿍 담긴 메일들을 보내주는데 그것들을 시시때때로 내 머릿속에서 메아리차고 나와 대화를 한다.


반대로 책을 읽고 나서 그 관점에서 생각해보니, 나와 잘 진행이 안된 관계들은 모두 메일을 주고 받지 않을 것 같은 사람들? 적어도 내 마음한켠에 그런 마음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음. 쓰고 보니 이건 상당히 무례한 비약인것 같지만.


그래서 난, 음 에미 로트너 식으로 말해보자면

1) 난 이 이야기를 완전히 부정할 수 없다. 이야기에 흠뻑 빠졌다는 수준을 넘어, 이와 같은 일을 내 미래에서 완전히 부정하기는 힘들다. (비포선라이즈는 자신있게 부정할 수 있다!) 그래서 뭔가 몰라도 될 비밀을 알게 된 것 같이 약간은 무섭다.

2) 에미와 레오가 주고 받은 메일들은, 너무 많은 향수를 불러 일으켰다. 오늘 머릿속으로 떠올린 사람수는 적지 않으며, 사라진 메일의 내용들을 복기하려고 애쓰고 있었다. 지금 메일함에 있는 비사무적이고 비상업적인 메일들을 모조리 다시 읽을까하는 미친짓을 고려하기도 했다.

3) 그래서 돌아가고 싶다. 이 글을 쓰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서 넘어가고 싶다.

4) 근데 난 후버카페 이야기가 나올 때 까지 에미 로트너가 예쁜 사람일 것이라고는 한번도 생각하지 못했다. 라이케의 지적질을 보고 다시 읽었음에도 난 그걸 모르겠는데, 왜지? 이들이 독일인이라 그럴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11-02-27 2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끙.
저는 이 책이 에디님께 어떤 감정적인 영향을 주기를 바란게 사실이지만,
이렇게까지 깊게 영향을 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어요.
아 이런.
 


우와. 깜짝 놀랐다.

아직 스토리는 모르지만 난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다. 스팸메일도 많이 없던 시절, 그 당시엔 '어느 어느 사이트에서 수집된 이메일입니다' 라고 친절히 설명이 있던 스팸메일이 있었는데 (이러면 법망을 빠져 나갈 수 있었나?) 그 사이트는 처음보는 어느 개인의 홈페이지였고, 난 그 사람에게 항의 메일을 보냈다. (스팸메일의 보낸사람 주소가 그 사람의 이메일 주소였다...)
 
오해를 풀자 하루키에 대한 메일이 오고 갔었고 (이메일에 midori가 있었다)

서로 꽤 가까운 곳에 살고 있다는 걸 알았다. 한번은 꽤 진지한 어조로 만나자고 했었는데 당시 내가 마음에 여유가 없었고 그 태도가 마음에 안들었는지 없던일로 해버렸다. 그 후엔 가끔 전화를 해서 안부를 묻고 상담을 요청해 오곤 했다. 얼굴 없는 친구의 장점.

그녀의 상담 내용들은 지극히 평범한 대학생이던 나에게 꽤 화려하고 신선한 - 그러면서 다소 비극적인 - 것으로 기억한다. 직장, 사랑, 불륜...


다시 책 속으로. 지금은 2시 35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11-02-27 1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쯤은 다 읽으셨을까요? 두근두근.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스토리콜렉터 2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륜이 없으면 이야기가 안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1-02-27 0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별 세개에요? 흐음, 저 이거 너무 재미있을것 같다는 기대로 장바구니에 넣어놨는데 말이죠!!!!! 독일 소설이잖아요. 어쩐지 좋을 것 같았는데 orz

에디 2011-02-27 02:22   좋아요 0 | URL
그죠? 저도 오랜만에 신작소설이 보고 싶어서 고심끝에 선택했었는데... 여기 오시는 분들은 안보셔도 될 것 같은 마음에-_- (사실 두개를 할까 했음)

 

딱히 누구를 설득하기 보단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내 생각에 김영하가 최초의 글을 쓰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작가가 되는 것'이 완전한 블랙아트이기 때문이다. 김영하의 충고는 정규 교육을 들으라거나 하루 12시간씩 글을 쓰라는 구체적인 것이 아니었다. 문하생이 되라는 것도 아니었다. 모든것이 너무나 불확실 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인생에 있어 특정한 시기의 집중된 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스포츠 선수나 바둑기사, 발레리나 보다 훨씬 더 뜬금없이 나타난다.


그래서 그의 충고는 모호하고 낭만적이다. 긍지를 가지고 즐겁게 계속해라.

조금 잠언적으로 바꾸면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말을 떠올릴 수도 있다. '항상 자신을 보호해라'.


신춘문예에 맹목적으로 매달리지도 말고, 그렇다고 완전히 부정하라는 말도 하지 않았다. 자신의 에고를 보호하고, 작가라는 자긍심을 가지고 계속 써라. 기회를 소수의 등단에 한정하지 말고 계속해서 가져라. 많은 기회는 많은 거절을 의미하기 때문에 (신춘문예만을 목표로 하면 1년에 몇 번만 거절을 맛봐도 된다)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라는 낭만적인 생각을 해라.


작가를 지원하는 제도나 조직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그것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부분 작가가 된 다음을 위한 것이다. (즉 이때부턴 사회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가난한 예술가'에 대한 것이다) 그럼 작가가 되려는 사람은 어떻게 지원해주어야 하는가? 여기에 약간 거리를 둔 것도 이 때문이다. 인류가 아직 무지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저 개인의 방편 이상으로 만들기를 꺼리는 것이다.


소수의 선택받은 자들을 제외하곤 이 마술이 성공하기 위해서 자신을 보호하고, 일상적인 삶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방편이 필요하다. 폴 오스터는 죽은 아버지의 유산을 바탕으로 데뷔했고 변호사를 그만둔지 18년만에 신진 작가가 된 벤 파운튼에게는 변호사 부인이 있었다. 김영하는 대학원생이었고 리뷰 잡지가 없었다면 그의 책에 나오는것 같은 회계사가 되었을지도 모를일이다. 박민규나 김애란, 김사과로 가면 이 방편이 이보다는 약간 (적어도 물질적으로는) 불안정 했을 수 있다.


외국에서도 많은 작가들은 다른 직업을 가지고 있다가 탄생한다. 바텐더, 스트리퍼, 기자. 분명히 우리나라는 삶의 일상적인 부분을 유지하기 위한 이러한 방편들이 많이 괴로운 나라이다.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으며 완전히 다른 인생을 계속해서 준비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그것이 김영하의 잘못은 아니다. 복지가 잘 되어있고 사회가 안정되어 다른 일을 하면서도 예술 활동을 지망하기가 더 쉬운 환경이 되면 좋겠으나 그것이 예술가 지망생을 좀 더 동정하거나 이 모호한 집단을 좀 더 구체적이고 조직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것과는 다르다. 풍족한 곳에서도 작가는 비슷하게 탄생할 것이다. 인간적인 모멸감을 덜 경험하고 작가가 될 수 있겠지만 태어나는 과정 자체를 규정하고 지원하기는 쉽지 않다.


결과적으로 난 여전히 사람들이 투표소에서 해야 할 행동을 한 작가의 작가론에다 포화를 퍼붓는 것으로 대신했다고 생각한다. 사회를 더 살만하게 만드는 것은 좋다. 하지만 전업 예술가를 어떻게 보호하고 탄생시키려는가? 이것은 여전히 낭만적일 수 있는 이야기이다.


P.S - 그 논쟁은 가난한 예술가에 대한 것이 아니다. '작가가 되기 까지'에 대한 것이다. 소조는 조직적인 길드를 주창했고 김영하는 개인의 일 이상으로 나가길 꺼려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치니 2011-02-26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영하의 작가론(을 완벽하게 이해하진 못하지만)에 대해서 왈가왈부할 생각은 없어요.
작가 아니라 누구든, 자기 살고 싶은대로 사는 거니까, 그가 남에게 자기 방식을 강요하지만 않는다면야.
항상 방법이 문제고, 사람들이 분노한 지점은 그 '방법'에 있었다는 생각입니다.
 

내가 꼽는 PMG 최고의 명곡은 다른 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게 "Are you going with me" 와 "Last Train Home" 이다. 명곡이 워낙 많다보니 다른 곡을 선택하고 싶을 때도 있지만 라이브의 기억을 떠올리면 도저히 그럴수가 없다 (마음속으로 비명을 질렀다).





나에게 최고의 앨범은 We Live Here. 다른 앨범들보다 일상적으로 그냥 저냥 듣기에도 크게 부담이 없다. (The Way Up은 이게 불가능) PMG의 앨범 중 가장 그루브하며 힙합 느낌이 강한데 오히려 내가 좋아하는 라일 메이즈의 피아노가 빛나는 곡들이 많다. 

다시 한번 이렇게 이질적인 앨범을 만들어주면 좋겠다. 아니 제발 공연에서 이 앨범을 선곡이라도....

관객들이 너무 부럽다. We Live Here 투어엔 서울도 있었는데 95년이라니 내가 너무 어렸을껄.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11-02-25 1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95년엔 에디님이 너무 어렸었군요.
제 경우엔 나이를 먹을만큼 먹었었는데 말이죠.

에디 2011-02-25 23:15   좋아요 0 | URL
펫 메스니를 보러 가기엔 어렸던거 같아요. 이런거에 꼭 나이가 있는건 아니지만...

치니 2011-02-25 1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그 공연 본 사람! 메롱. ^^

에디 2011-02-25 23:16   좋아요 0 | URL
진짜 왠지 이 글 쓰면서 치니님은 직접 보신거 아냐? 생각했었어요. 아 부럽다 부럽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