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그러니까 올해 여름엔 홍콩을 다녀왔는데, 나름 신경을 써서 가져간 책이 김영하의 <여행자 도쿄>, 김연수씨의 <여행할 권리> 이 두 권이다. 그리고 비행기에서 여행할 권리의 몇 페이지를 읽는 동안 나는 깨닳았다. 이 책은 쇼핑과 온갖 디저트로 점철될 이번 여행과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실제로 정말 쇼핑을 즐겼다.)


<여행할 권리>를 다 본 것은 서울로 돌아와서 몇일이 지난후였다. 그리고 <내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을 같이 본 친구와 대략 이런식의 대화를 헀다. '이 사람 학생때 NL인건 말 할것도 없고, 왜 이렇게 지금까지도 북한이니 간도니 그 시절의 독립 운동이나 사회주의 계보와 변절 같은거에 집착하는 걸까?'


그리고 <밤은 노래한다>가 출간되자마자 <여행할 권리>에서의 간도 여행의 목적을 알 수 있었다. 내가 이 책에 강한 관심을 보인 것은 그때문이다. 굳이 작가후기를 보기 전에도 이 책이 오랬동안 하고 싶었고 끊임없이 준비해온 이야기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작가 약역만 보아도 어느 정도 그 일관성을 알 수 있다.)

매혹 되었다. 라고 해야할까. 한 사람이 특정 시대의, 특정 지역의, 특정한 사람들이 사물과 역사를 느끼고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싶었고, 얼마나 그 이야기를 쓰고 싶었는지. 한 사람이 남들이 외면하는 어떤 대상에 빠져들고 계속 천착해 가는 모습을 보면 희열을 느낄때가 있다. <밤은 노래한다>가 그렇다.


'나는 원래 뭔가를 간절히 원하면 온 세계가 그 열망을 도와준다고 믿으며 이 세상에 태어난 사람이다. 대신에 조건은 있다. 온 세계가 그 열망을 도와줄 때까지 계속 간절히 원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열망이 이뤄질 때까지 열망한다. 나는 좀 그렇게 생겨먹었다.' - 작가의 말 中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08-10-07 0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이님은 김연수가 좋아요? 흐음.

저는 이 책을 읽지 않을거라고 생각했었는데, 흐음, 읽어봐야 겠군요.

에디 2008-10-07 08:55   좋아요 0 | URL
왠지 저랑 안맞는다고 생각하고 계속 좋아하진 않았는데, 점점 좋아지는거 같아요. : )

니나 2008-10-07 1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서재타고 간간히 와서 눈팅하던 1人이어요 ㅎㅎ 여행갔다 돌아오는 길에 뱅기서 집어든 한겨레에 나온 이 책 보고 당장 사고 싶어 혼났거든요. 근데 이유는 표지가 제가 좋아하는 그림이래서ㅋㅋ 전 김연수 거는 <달로 간 코미디언>이랑 <사랑이라니 선영아> 밖에 못봤는데 (사랑이라니 선영아 보고 너무 좋았는데 김연수 좋아하는 사람들은 또 별로 안좋아하는 책이라고들해서)아직 연수아저씨에 대한 감이 없다며... 근데 다락방님도 사랑이라니 선영아는 좋아하실 것 같아요ㅋㅋㅋ

다락방 2008-10-07 15:00   좋아요 0 | URL
아, 니나님. 완전 미안해요.
[사랑이라니 선영아]는 읽자마자 이게 뭐야, 하면서 방출했던 책이예요. 작년인가 재작년에. 아, 안좋아해서 완전 미안해요. 우째 ㅠ.ㅠ

그리고 니나님, 저 그림이 좋아요?
혹시 에곤 실레의 그림스타일을 좋아해요?

니나 2008-10-07 16:19   좋아요 0 | URL
옴마야 글쿠냥~ 아무래도 전 책이든 영화든 찌질남 나오는걸 꽤나 좋아하는 같애요... 글고 에곤실레도 ... 좋아해요;;; ㅋㅋㅋ

에디 2008-10-09 22:34   좋아요 0 | URL
아. 사랑이라니 선영아는 못봤어요. 달로 간 코미디언은 좀 그저 그랬던거 같아요. 저도 이 책을 보고 뭔가 반가워서, 마치 내가 비하인드 스토리를 알고 있는 그런 사람 같아서, 보자마자 주문 했었어요.

그나저나 반가워요. 사실 저도 간간히 니나님 서재를 훔쳐봤거든요!

네꼬 2008-10-07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킁. 김연수 씨는 인기가 좋군요. 나는 뭐.. 음. 뭐.

지지난 주에 EBS 세계테마기행(테마세계기행? 테마세계여행? 아무튼 -_-)에서 김연수 씨가 몽골 여행한 것 방영했는데, 혹시 보셨어요? 화면 참 좋았는데. (전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에 있는 <뉴욕제과점>을 제일 좋아해요)

다락방 2008-10-08 08:32   좋아요 0 | URL
앗, 그건 또 뭐람?
저도 볼래요.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에 있는 <뉴욕제과점>을요. 후후.

에디 2008-10-09 22:38   좋아요 0 | URL
아 그거! .......제가 최근에 김연수씨 책 이야길 하니까 모두들 저 다큐멘터리를 말하고 막 사진도 보여주던데 정작 보진 못했어요.

사진만봐도 화면이 너무 좋던데. 꼭 챙겨보려구요. 다락방님처럼 저도 볼래요. 뉴욕제과점. 전 굳빠이 이상부터 뭐랄까...김연수의 일제시리즈-_-? 만 본거 같아요.

웽스북스 2008-10-18 22:13   좋아요 0 | URL
꺅 저도 뉴욕 제과점 좋아하는데. 이거 어디서 왠 뒷북이래 ㅋㅋㅋ

2009-02-18 23: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스밀라의 눈에 대한 감각
페터 회 지음, 박현주 옮김 / 마음산책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임을 맞추느라 고생했다. (정말이다.)

언제나 나에게 빨간 책 만을 좋은 책 만을 추천해주는 좋은 지인들은, 꽤 오랬동안 나에게 이 책을 권해왔다. 그런 추천을 군말없이 잘 받아들이는 편임에도, 왠일인지 이 책에는 특별한 이유없는 완고함을 보이며 시간을 끌어왔는데, 난 지난 겨울이 되어서야 이 책을 손에 들었다. 그리고 그들이 옳았다. 그 이후로 난 모든 사람을 볼 때 스밀라를 기준에 넣는 버릇이 생겼으니까.

   
  그 외에 다른 도와줄 일은 없냐고 물었다.

  "있어요."
 
  나는 말했다.

  "잘 먹고 잘 사세요."
 
   

 

'독립적인 사람이 좋아' 라고 꽤 오랬동안 주장해 왔다. 하지만 나의 이 '독립성' 이란 기준은 참으로 애매모호하고 들쭉날쭉 한데, 경제적인 독립성을 의미할때도 있고 연애나 인간관계 혹은 학력이나 직장에 대한 독립성으로 변모할 때도 있다. '자신이 의지하고 있는 자신이 아닌 모든것' 이라고 말하면 거창하겠지만, 실제로 이 성향이 내가 사람에게 (비)호감을 느끼는데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함을 스스로 알고 있다. 난 조금도 독립적이지 않은 사람에게도, 조금도 독립적이지 않은 면에서 호감을 느끼는 자신을 자주 본다.

 

이 '독립성' 은 점점 교묘하고 유치한 멜랑콜리로 변모한다. 나는 저 사람이 좋아, 그런데 너무 회사에 목매고 있잖아. 음. 뭐 어때. 그래도 좋아. 저 분은 다 좋은데 부모님에 너무 의지하는군. 그래도 난 저 사람이 좋은걸.  

스밀라는 나에게 이러한 멜랑콜리를 허용하지 않는다. 오직 자신만이 납득하지 못한 한 아이의 죽음에 그녀는 언제나 자신의 판단으로, 자신의 결정으로 행동한다. 자신과 상대방을 몰아붙이고, 약을 올리며 수를 쓰고, 협박을 받고, 긴장하면서도 사냥을 위해 총을 흔들고, 물에 빠지고, 싸운다. 그리고 사람을 사랑한다.

   
  나는 사람들이 진정으로 냉담해질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 긴장할 수는 있겠지만 냉담해질 수는 없다. 삶의 본질은 온기다.  
   

 

사람은 독립적이면서도 사랑에 빠질 수 있고, 우울하면서도 - 아니, 우울하기 때문에 - 열정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 (Zooey Glass 의 "좌절감에 빠질 수 있으면 그 힘을 사용하여" 는 옳다.) 우리가 스밀라 만큼 충분히 인간적이라면.

이 책이나 스밀라에 대한 나의 사랑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리얼리티가 있어 보이고 하드보일드 하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환상과 허구일 뿐이라는 - 필립말로와 마찬가지로 -  얘기를 들은적이 있다. 하지만 스밀라를 보다보면 '마땅히 누구라도 이러하지 않겠는가' 라는 느낌이 든다. 우리는 사실, 원래, 당연히 이만큼 인간적이고 독립적인 온기를 가지고 있지 않을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꼬 2007-06-22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독립적이라거나 자기 세계가 분명하다고 해서 꼭 온기가 없는 건 아니겠지요. "이만큼 인간적이고 독립적인 온기"라는 말씀이 마음에 남네요. 저도 이 책이 좋아요. : )

비로그인 2007-06-22 1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추천받았는데 꾸역꾸역 안 읽는 책이죠 ㅋㅋ
잘먹고 잘사세요!
제가 얼마전 누구에게 했던 말인데...
읽고 싶어지네요 :)

다락방 2007-06-24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는 이 책보다는 주이님의 리뷰가 훨씬 근사한데요. 전 재미없게 읽었거든요. 어쩌면 책을 읽기 훨씬전에 영화를 먼저 봤기 때문인지도 몰라요. 스밀라가 '줄리아 오몬드'라니, 아, 정말 미쓰캐스팅이지요? 제겐 늘 우울했던 영화였고(늘 겨울이었으니) 몇년후에 읽었던 이 책은 그래서인지 다른 여성캐릭터를 넣을수가 없어서 고정된 이미지를 줬어요.

그나저나 주이님.
리뷰, 참 잘쓰시는군요!

에디 2007-06-24 2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세상에 스밀라가 '줄리아 오몬드' 라니!!!


...............우선 구글에서 좀 찾아보구요.
..이렇게 생기셨군요. 영화를 안봐서 모르겠는데 (봐야겠다고 생각은 했지만
말씀하신것 처럼 영화로는 너무 우울할 것 같아서)
음. 미스캐스팅이 맞을 것 같아요.


좋은 말씀 고마와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