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일 2식 - 건강을 원하면 아침을 굶어라
히가시 시게요시 지음, 안중식 옮김, 코우다 미츠오 감수 / 지식여행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아침식사를 거르면 뇌 활동에 필요한 포도당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고력과 집중력이 떨어지고 무기력하게 된다. 변비나 피부 트러블이 생기고 쉽게 피로해진다. 그래서 아침식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고 있었고, 아침을 꼭 챙겨 먹으라는 말을 당연하게 생각했다. 그런데 책표지에 건강을 원하면 아침을 굶으라고 쓰여 있어서 충격 아닌 충격을 받았다.
일본의 코우다 미츠오 박사는 직접 1일 2식의 소식요법을 체험하며 난치병 치료에 전념해왔다고 한다. 50여 년 동안 구축한 소식법을 <1일 2식>에서 소개한다. 상대의 얼굴만 보고도 건강 상태를 금방 알아맞힌다는 코우다 박사에게 내 건강 상태도 물어보고 싶다. 현대의학으로도 고치지 못한다는 온갖 난치병의 치료에 커다란 성과를 올렸다면 코우다 요법의 효력을 인정해야만 할 것이다.
코우다 박사는 딱 잘라 이렇게 말한다. "건강한 몸을 만들고 병들지 않게 하기 위한 특별한 지름길은 소식 외에 없습니다." (중략) 가장 이상적인 식사량은 정량의 60% 정도지만, 그것은 어려울 테니까 80% 정도만 먹도록 신경을 써 보세요." -26p
코우다 박사는 아침식사를 거르는 것이 '뇌의 포도당이 부족해서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은 성급하다고 말한다. 아침밥을 먹으면 뇌는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만, 아침식사를 하지 않으면 뇌는 다른 물질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하루 중 오전은 '노폐물을 배설하여 위장을 쉬게 해야 할 때'인데, 아침식사를 하면 위장에 필요 없는 부담을 주고 숙변이 쌓이는 원인이 된다. 숙변의 독소가 혈액 속에 흡수되어 여러 질병이 생긴다.
코우다 박사가 1일 3식을 반대하는 이유는 음식을 먹고 나서 완전히 소화되기까지 약 18시간이 걸리는데, 1일 3식을 하면 식사 간격이 짧아 위장을 쉬게 할 시간이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저녁식사 후 다음 날 점심까지 약 18시간의 간격을 두기 위해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1일 3식을 해온 사람들이 당장 실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흰쌀은 현미로 바꾸고 아침식사로 야채주스를 마셔라, 간식과 야식은 구만두라,고 한다. 저녁식사는 최소한 취침 3시간 이상 전에 하도록 한다. 아침에는 물을 마시고, 오전 중에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수분은 공복시에 섭취하는 것이 철칙이며, 식사중일 때나 식후 3시간 동안은 마시지 않도록 한다. 이때 물을 마시게 되면 위산과 소화액을 묽게 하기 때문이다. 어릴 때 물에 밥을 말아 먹은 적도 많았는데, 그러한 식습관은 그만두는 것이 좋다고 한다. 식사중에 수분을 섭취하여 위액이 묽어져 있다면, 세균에 감염될 위험도 높다.
6장에서는 1일 2식의 소식요법을 초급, 중급편으로 나누어 성공 비결과 메뉴들을 소개한다. 1일 2식을 결심한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겠다. 8장에서는 1일 2식으로 개선된 병과 증상들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책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1일 2식 소식요법의 기본은 아침식사 폐지, 점심과 저녁의 2식이고, 저녁식사에서 다음 날 점심까지 18시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저녁식사 후 최소 3시간이 지나고 잠자리에 든다. 가족과 함께 책을 읽은 뒤, 1일 2식을 바로 시작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