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 우리가 앉았던 의자들
기낙경 지음 / 오브제 / 2011년 9월
평점 :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서른을 앞두고 있는 요즘, 제목에 '서른'이란 단어가 들어가면 무조건 펼쳐보게 된다. 서른, 서툴고 미숙한 의자에 앉은 시간이란다. 생生이 고苦와 락樂의 범벅이라고 인정하는 나이란다. 그렇다면 나의 서른 또한 그럴까?
친구들과 함께 음악을 들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매일 아침 출근하면서부터 퇴근할 때까지 시간에 얽매여 있고, 모두 해피엔딩일 수는 없는 연애를 한다. 온갖 실수와 착각을 하고, 상처를 받고, 다시 마음을 동여맨다. 가끔 밥을 혼자 먹고 싶을 때가 있고, 소중한 벗들을 위해 남은 생 의자를 내어주며 살고 싶다.
자주 만나는 사람들이 있고, 그들과 함께 가는 카페가 있다. 자주 만나는데도 만날 때마다 할 이야기가 끊이지 않는다. 매번 같은 주제의 이야기를 하는데도 지루하지 않다. 이야기를 하다가 잠시 시간을 내려놓아도 어색하지 않다. 그런 사이로 지내는 사람들이 몇 명 남아있는 서른 즈음의 나는 조급하지 않다. 설령 조급한 마음이 있더라도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련다.
나이가 드니 곁에 남은 이들은 자연스레 가려지고 또 그만큼 윤나는 관계들이 되었다. 하지만 욕심 많고 그 욕심자리로 인해 가슴이 어두워진 이들은 대체로 멀어졌다. 어떤 이는 바보처럼 손해만 보기도 하고 또 어떤 이는 마음이 약해 상처받기 일쑤지만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을 멍들게 하는 이들은 없다. 그래서 없으면 없을수록 또 넘치면 넘쳐서 나누는 관계들이 되었다. (180p)
저자에게 의자는 친구들과 두런거리는 시간에도, 혼자서 눈물을 삼키는 시간에도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어느 덧 대중교통보다 자가용과 택시를 이용하는 일이 빈번해진 나이의 택시야말로 세상을 읽는 또 하나의 의자라고 한다. 그녀는 자주 그녀의 집을 그리고 가꾸는데, 특히 의자에 관한 생각을 자주 한다. 어느 공간에 의자 하나 놓여 있으면 금세 분위기가 훈훈하게 바뀌기 때문이란다. 나도 그녀처럼 산기슭에 숨어 있는 나무 벤치의 낙엽 냄새를 좋아하게 될 것 같다. 길 위에서 지나친 모든 의자에 섞여 있는 낡고 새로운 먼지 냄새를 좋아하게 될 것 같다.
서른을 넘기고서야 생의 반짝임을 조금씩 맛보고 있다는 저자의 말처럼 나 역시 그러길 바란다. 주변에 언니들이 많은 나는, 그녀들에게 서른이 될 즈음의 느낌을 많이 들어왔다. 뭔가 이루어 놓은 게 없어서 우울하고 비참한 기분이 들었다는 언니도 있었고, 이십 대의 느낌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는 언니도 있었다. 그리고 뭐든지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는 생각에 가슴이 벅차고 마음을 다잡게 되었다는 언니도 있었다. 그녀들의 각기 다른 반응처럼 내 느낌 또한 어떨지 모르겠지만, 분명한 것은 나는 내 서른을 멋지게 맞이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