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도는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 백년의 고독, 천년의 사랑
이사강.김태환.유쥬쥬 지음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표지부터 참 고급스럽다.
영화감독, 사진가, 아티스트 세 명은 각자 자기만의 방식으로 인도를 이야기한다.
영화감독 이사강 :
그녀는 오래전부터 인도를 동경했고, 인도 여행을 꿈꾸었다. 최근에는 요가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인도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그녀가 인도에서 가장 먼저 배운 것이 ‘비움’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인도를 최신과 구닥다리가 불균질하게 섞여 있는 곳이라고 생각했고 그 혼란 속에서 헤맸지만, 자신을 던져버리고서 즐거워졌다고 한다. 영화감독답게 여러 작품의 영화도 언급한다. 사랑과 이별을 이야기할 때는 <러브 스토리>,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인도에서 자신의 모습을 이야기할 때는 <슬럼독 밀리어네어>,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인셉션>을 곁들였다. 사고에서만큼은 어느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인도인과 촬영을 하고, 늘 시간에 쫓겨 사는 것이 익숙했지만 장시간 기차 여행을 하며 느림의 미학을 배웠다.
사진가 김태환 :
어느 나라에 가든 오토바이 타고 여행하기를 좋아하는 그는 인도에서 인도인의 행복을 카메라에 담았다. 과거 지향적인 삶을 살아가던 그는 인도 여행을 하며 현재의 하루하루를 소중히 살아가기로 마음먹는다. 위대한 건축물보다 재래시장이나 골목길에서 깊은 감흥을 받는다는 그의 글은 읽기가 쉬웠고, 인도의 순수한 사람들, 여행, 폴라로이드가 영감을 준다는 그의 사진은 화려하지 않지만 깊이가 느껴진다. 그는 사소한 것에도 감탄하고 잘 웃고 잘 표현하는 따뜻한 마음을 지닌 인도인들에게 꾸밈없는 미소에서 행복이 시작된다는 것을 배웠다. 그리고 절망감과 공포 속에서도 언제나 웃음을 잃지 않는 티베트인들의 순수한 마음을 보며 평화로운 마음으로 세상 보는 법을 배웠다.
설치미술가 유쥬쥬 :
2005년 겨울, 인도에 다녀온 후로 늘 ‘인도에 다시 가야지’라고 생각했다는 그녀가 찍은 사진들은 색감이 좋다. 알록달록 예쁘기도 하고, 사진 한 장에 서너 가지의 색깔 뿐이더라도 느낌이 좋다. 그녀는 형형색색의 물건이 넘쳐나는 시장을 좋아하고, 원색적이고 유아적이고 유치한 자신의 취향을 사랑한다. 종종 할머니가 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기도 하고, 도로 위를 지나가는 차의 운전자들에게 손을 흔들며 인사를 건네기도 한다. 인도에는 무수히 많은 하찮은 아름다움이 존재하고, 인도인들은 모두가 아티스트라고 하는 그녀는 사소한 것도 감탄의 시각으로 바라볼 줄 아는 인도인, 태생적으로 호기심을 갖추고 태어난 인도인이 부럽다고 한다.
세 권의 책을 읽은 것 같다. 함께 여행한 세 사람의 각기 다른 이야기다. 인도에 대한 여행 설명서도 아니고, 인도에 관하여 자세히 알려주는 것도 아니지만 인도인을 알고, 인도를 느끼기에 충분한 것 같다. 나도 인도에서 소박한 모습이 담긴 사진을 찍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