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즐, 삶을 요리하다 - 슬로푸드를 찾아 떠난 유럽 미식기행
노민영 지음 / 리스컴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표지에 알록달록한 색상의 주방용품 사진이 나와 있어서인지 책의 첫 느낌은 산뜻했다. 먹는 즐거움만 추구하는 미식가였던 저자 노민영은 이탈리아행 유학에서 슬로푸드 철학을 지닌 신개념 미식가로 거듭나게 되었다. 신개념 미식가들은 음식이 어떻게 생산되고 유통, 소비되는지 연구하여 음식의 지속가능성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의 이러한 움직임이 바로 슬로푸드 운동이라 할 수 있다. (32p) 그녀가 유학한 이탈리아(파르마, 볼로냐, 모데나, 밀라노, 베네토, 토스카나)와 학교에서 현장학습을 위해 방문한 스페인(빅, 바르셀로나), 그리스 크레타섬, 프랑스(리용, 디종, 부로숑)에서의 맛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여행과 음식을 좋아해서 관련 책을 많이 보는 편인데 유럽 미식기행은 처음이다. 게다가 슬로푸드를 찾아 떠난 유럽 미식기행이라니 더욱 기대가 된다. 

전 세계의 미식가들이 열광하는 프로슈토(돼지다리를 염장하여 숙성시킨 것)와 파르미자노 레자노 치즈(큰 덩어리의 단단한 치즈로 연한 노란색을 띤다.)의 본고장이라는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한 파르마에서 그녀는 같은 반 친구들과 피자파티를 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볼로냐 대학과 볼로네제 스파게티로 유명한 볼로냐에서 슬로푸드영화제에 참석하고, 풍성한 맛의 젤라토를 맛본다. 발사믹식초의 원산지인 명품 도시 모데나와 베니스 축제만큼이나 화려한 음식문화를 발달시킨 베네토, 아름다운 경치와 풍요로운 음식문화를 자랑하는 토스카나 그리고 밀라노에도 들른다. 그렇게 이탈리아에서 골목골목 다니며 지역사람들이 북적이는 소박한 음식점을 찾아내어 소개해준다. 나는 이탈리아에 간다면 카푸치노와 코르네토(크루아상)로 이탈리아식 아침식사를 해보고 싶다. 스페인에서는 바게트 사이에 하몽을 넣은 샌드위치, 해산물과 파스타를 넣어 만든 '피데와', 차가운 토마토 수프 '가르파초'를 맛보고 싶다. 따뜻한 초콜라테에 추로스를 찍어 먹는 것도 빠뜨릴 수 없겠다.  

대학교 때 맛있는 음식을 먹으러 다니는 걸 좋아하던 친구와 나는 그리스 여행중에 여러 가지 그리스 음식을 맛보고 오자고 했었다. 하지만 무더운 날씨 탓에 음료와 아이스크림을 더 많이 먹어서 아쉽기만 하다. 여행 다녀온지 5년이 지났을 때 그리스 음식이 그리워서 찾은 그리스 음식 전문점. 그곳에서 맛본 음식들은 기억 속의 맛과 달라서 조금 실망했었다. 책에 나온 올리브 나무나 그리스식 샐러드가 그립다. 아테네에서 델피가는 길에 버스에서 내려 보았던 올리브 나무로 가득한 풍경은 마치 그림 같았다. 그리스인들의 아침식사는 간단하게 커피 한 잔 마시는 정도인데, 우리는 샐러드와 수블라키를 먹었었다. 그릇에 원하는 재료를 담아 샐러드를 만들어 먹는 식이었는데 올리브와 토마토, 갖가지 야채에 두부처럼 생긴 페타 치즈를 얹어 먹었다. 페타 치즈를 처음 먹었을 때 짠맛이 너무 강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맛에 익숙해졌다. 딱딱한 러스크(빵) 위에 미지트라(치즈)를 올린 크레타의 대표적인 간식 다코스와 미지트라로 속을 채운 반죽을 튀겨 타임 꿀에 찍어 먹는 크레타 전통 디저트를 먹어보지 못해 아쉽다. 언젠가 그리스에 다시 가게 된다면 크레타의 시골 마을을 여행하며 이전에 맛보지 못한 전통 음식들을 즐기고 싶다.

치즈와 빵이 가득한 프랑스의 시장 구경도 재미있겠다. 책의 여러 페이지에 나온 치즈 사진을 보고, 치즈 이야기를 읽다보면 왠지 느끼함에 머리가 아파오기도 했지만, 먹거리로 가득한 책 한 권을 참 맛있게 읽었다. 책에 소개된 십여 가지의 레시피도 고맙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