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킹 우드스탁
엘리엇 타이버.톰 몬테 지음, 성문영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8월 15, 16, 17일 물병자리 시대를 여는 첫 대형 사건 ─ 이게 우드스탁 페스티벌의 원래 이름이었다.  

(150p)

 

공연 이벤트에 당첨되어 홍대 상상마당에서 열린 라이브 콘서트 <테이킹 우드스탁>에 갔었다. 도회적 감성의 밴드, 중성적 색깔로 자신들만의 독특한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록밴드 등 흡입력 있는 무대를 선보였고, 공연은 인류의 사랑과 세계평화를 위한 첫걸음이 되고자 마련되었다고 한다. 세 시간 동안의 활기찬 공연이 참으로 인상깊었기 때문에 도서 '테이킹 우드스탁'에도 자연스레 관심이 갔다.   

 

처음에는 소설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사랑과 평화의 3일'이라고 칭한 우드스탁 페스티벌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실화였다. 1장에서 5장까지는 불황의 수렁으로 빠져들어가는 부모님의 모텔 이야기와 함께 엘리엇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들려준다. 6장에서부터 우드스탁 페스티벌에 관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옮긴이의 말대로 이 책은 우드스탁 페스티벌에 가장 가까이 있었으면서도 공연 자체를 다루지 않는, 그러면서도 페스티벌에 대해 가장 많은 이야기를 하는 회고담이다.

 

엘리엇은 '우드스탁과 그때 우리가 함께 엘 모나코에서 경험한 그 모든 짜릿한 모험에 대한 책'이라고 했다. 우드스탁의 가치는 사랑을 주고받을 자유를 설파하는 것이고, 그것으로 인해 엘리엇은 자신을 찾고, 자신을 탈바꿈시켰다고 한다. 우드스탁을 개최한 것도 아니고, 콘서트 장소를 제공한 것도 아니지만 그가 있었기 때문에 우드스탁은 시작되었고,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그는 난생처음 혼자가 아니라는 걸 알았고, 자유를 느꼈고, 주변의 모든 사물과 사람들과 연결되었음을 느꼈다. 자신의 꿈의 많은 부분이 현실로 이루어졌다고 했다. 우드스탁이 적어도 자신의 인생만큼은 극적으로 바꾸어놓았다니, 우드스탁 페스티벌은 최고였던 게 분명하다.  

 

책의 '일러두기' 다음 페이지를 보면, 엘 모나코 모텔과 우드스탁 본부 주변의 약도를 그려 놓았는데, 뭔가 재미있어 보인다. 1969년 여름, 페스티벌 시작 당일에 비가 내렸지만 17번 B도로는 주차장으로 변했고, 사람들은 차에서 내려 야스거의 농장까지 걸었다. 우드스탁 콘서트가 계속 이어지는 3일 동안 일어난 특별한 일은 역사 속의 한 순간, 순전히 음악의 기쁨을 나누기 위한 젊은이들의 나라가 탄생한 것이다. 그보다 더 대단한 것은 어떤 다른 뜻도 없는 순수한 의미에서의 일치와 평화, 그리고 사랑이 그곳에 존재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감정이 공연을 볼 때의 감정과 닮아 있다. 3일간의 열기를 세 시간으로 압축하여 느끼기엔 턱없이 부족했겠지만 이제 우드스탁이란 이름만으로도 열정의 도가니가 떠오를 것 같다.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의 이안 감독에 의해 영화화된 '테이킹 우드스탁'이 한국에서 곧 개봉될 예정이란다. '브로크백 마운틴'을 책으로 읽을 때는 쉽게 읽기가 어려워서 중간에 덮었는데, '테이킹 우드스탁'은 그래도 재미있게 읽은 걸 보면 영화도 볼 만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