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카토 라디오
정현주 지음 / 소모(SOMO)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자그마한 책이 참 예쁘다. 벽돌색 바탕 표지의 타자기가 탁탁탁 경쾌한 소리를 내는 듯하다. 마치 스타카토로 연주하듯이. 라디오 작가 그녀가 소소하고, 정답고, 따뜻하고, 즐겁고, 기분 좋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일상, 친구, 사랑, 그리고 좋아하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 옆집 언니처럼 편안하게, 친한 친구처럼 부담 없이 얘기한다.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맘에 와닿는다. 프롤로그의 첫 구절부터. '여행지의 아침 창가처럼 우리의 매일매일 설렘으로 시작되기를….'

첫장을 넘겼고, 글의 소제목을 모아놓은 것이라는 걸 눈치 못채고 읽었을 때 느낌이 좋았다 ; I have a typewriter. 매일 30분 in cafe. 눈을 뜨면 화분에 물주기. 오후 2시 날마다 소풍. 밤은 시간이 아닌 공간. 토요일엔 전원이 꺼져 있어. 일요일 12시 그림수업. Language Exchange와 사진 수업. 내 나이가 몇이더라? ; 읽으면서 참 여유롭게 생활하는구나 생각했고 부러웠다. 하나같이 따뜻한 느낌을 주는 사진들도 예쁘다. 하루 30분을 카페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혼자 보낸다니 그 시간이 행복할 것 같다. 달콤한 커피 한 잔에 들리는 것을 듣고 보이는 것을 보면서 온전히 나를 위한 휴식 시간. 

그녀의 '친구들'처럼 나도 책을 쓴다면 소개하고 싶은 친구들이 있다. 어릴 적에 생각했던 넓은 인맥보다 이제는 깊은 인맥을 바란다. 정말 소중한 내 친구들. 중2 때 단짝 예쁜 그녀. 말도 행동도 웃음도 예쁘다. 아주 오랜만에 만나도 항상 그대로다. 대학교 때 기숙사 살면서 친해진 꽁. 대학 시절 내 여행 파트너였다. 보름간 배낭 여행하며 사소한 말다툼 한번 한 적이 없다. 결혼한 지 50일도 안 된 새색시 꽁과 우리의 두번째 배낭여행을 계획 중이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 만난 소중한 친구 BK는 일본에 산다. 늦게 만나서 더욱 아쉬운 친구. 1년여 만에 도쿄 여행 중에 만나 반가웠다. 일하면서 알게 된 언니. 난 자꾸 동갑내기 친구처럼 느껴져 생각 없이 '야'라는 말이 튀어나오고, 언니는 나를 만나면 편안하고 자신이 착해지는 것 같단다. 학창 시절부터 지금까지 알고 지낸 사람들 중에 내 소중한 여인네들이 열 두명정도 있다.

그녀가 말한다. '끝도 없는 시행착오와 눈물과 상처를 넘어 이제야 사랑할 준비가 되었다'고. 나는 적당한 시행착오를 겪은 걸까. 눈물과 상처를 받을 만큼 받은 걸까. '우리는 너무 다른 세계에 속해서 지나치게 긴 시간을 홀로 살아왔던 사람들이라 결국 헤어졌다'라는 말에 공감하기도 하면서 이의를 제기하고도 싶다. 서로 다른 삶을 살아온 두 사람이라 헤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도 있었지만, 사실 생각해보면 모든 사람들이 모두 다른 세계에 속해 살아온 게 아닌가. 이제는 예쁜 사랑을 하고 싶고, 행복한 연애를 하고 싶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레몬향 비누 냄새, 흙내음 나는 시골길, 영화 <If only>,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 전화로 들려주는 피아노 연주곡,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나에게 남겨준 편지, 눈이 살짝 내린 맑게 개인 겨울 날씨, 그리고 소중한 추억들 정리하기.

작고 얇은 책 '스타카토 라디오'를 읽으면서 기분 좋은 꿈을 꾸는 듯했다. 오랜만에 만나는 학창시절 친구처럼 따스하고 포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