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프면 화나는 그녀, 여행을 떠나다
신예희 글.그림.사진 / 시그마북스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표지에서부터 여행 느낌이 물씬 난다. 배고프면 화나는 그녀는 궁금한 것은 무조건 입에 넣고 보는 광대역 입맛의 소유자라고 자신을 소개하고 있다. 사람냄새, 땀내음, 시끌시끌한 목소리가 좋아 여행지의 복작거리는 시장통, 이왕이면 재래시장으로 발길을 돌렸다고 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따르는 여행이야말로 의미있고 행복한 여행이 아닐까.

그녀는 홍콩&마카오, 스페인, 터키, 태국, 일본을 여행하며 맛보았던 맛있는 먹거리들을 이야기한다. 여행을 시작하며 비행기 안에서 먹는 기내식에 대한 기대도 크다. 대학교 4학년 여름방학에 그리스에 다녀오는 동안 기내에서 먹었던 음식들이 생각난다. 먹기 전과 먹은 후의 사진까지 찍어가며 맛있든 입맛에 맞지 않든 깨끗하게 비웠던 기억이 난다. 싫어하는 음식이 뭔지 모른다는 저자 만큼은 아니지만 사실은 나도 싫어하는 음식이 거의 없다. 아니, 못 먹는 음식이 거의 없다고 해야 하나. 그리스 여행하면서도 찌는 듯한 무더운 날씨 탓에 아이스크림이나 음료를 많이 먹긴 했지만, 새로운 동네에 들를 때마다 적어도 한 번씩은 저녁 만찬을 즐겼다. 그리스 고유의 음식들을 주문했는데 맛이 무척 좋았다. 짐을 맡기고 노숙하는 한밤중이나 긴 시간 배를 타고 새벽에 도착했을 때, 그리고 딸기셰이크가 정말 먹고 싶은데 노천카페의 가격은 터무니없이 비쌌을 때 딱 그 때에만 패스트푸드점에 갔었다. 잠깐 한인식당의 유혹도 있었지만 아직 오픈 전이라는 이유로 쉽게 발길을 돌릴 수 있었다. 배낭여행을 할 때에는 되도록이면 그 나라의 음식을 먹어 보는 것이 멋진 여행을 완성하는 한 부분인 것 같다.

내가 가장 가고 싶은 나라 터키와 다음달에 여행 예정인 일본의 음식도 소개하고 있어서 이 책을 꼭 읽고 싶었다. 터키에 가고 싶은 이유 중 하나는 프랑스, 중국과 함께 터키 음식이 3대 음식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터키에서는 어딜 가든 비슷비슷한 스타일의 아침식사를 먹을 수 있는데 간소한 듯하면서도 영양 균형이 잘 잡혀 있는 웰빙 식단이라고 한다. 겉껍질은 바삭하고 속살은 부드러운 터키 빵 에크멕에 꿀이나 체리 잼을 발라, 터키인들은 하루에 20~30잔 마신다는 뜨거운 차이 한 잔을 곁들이면 하루를 가볍게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쫀득쫀득 터키 아이스크림 돈두르마는 체인점 '마도'에서 맛보라고 한다. 터키의 디저트는 끈적끈적하고 무거운 맛이다. 아주 얇은 페이스트리 사이사이에 잘게 다진 피스타치오를 듬뿍 넣어 만든 파이 바끌라바와 공포스러운 단맛의 헬바의 명성은 익히 들어 알고 있다. 무엇보다도 터키하면 생각나는 케밥은 불에 구운 고기 요리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를 여행하며 지역마다 있다는 명물 케밥을 모두 맛보는 건 어떨까. 새콤한 요구르트에 잘게 채 썬 오이를 듬뿍 넣은 차가운 수프 자즈크와 터키인의 국민 간식, 참깨빵 시미트도 함께.

일본 간사이 지방 중에서도 교토, '교토의 부엌'이라 불리는 500년 전통의 니시키 시장은 아침 8~9시 사이에 가는 게 좋다고 한다. 없는 것이 없는 그곳에서 수많은 먹거리들을 눈요기도 하고 시식도 하면 신 나겠다. 아름다운 항구 도시 고베, 고베 시내 중심인 모토마치 상점가는 일본 전통 과자 전문점과 프랑스풍의 화려한 케이크 전문점이 공존한다. 고베의 차이나타운 난킨마치 거리도 맛난 음식을 파는 가게와 노점이 꽉 차 있다. 대나무 잎으로 싼 쫀득한 찹쌀밥과 얼큰한 중국식 라멘이 입맛을 당긴다. 오꼬노미야끼에 맥주 한잔을 곁들이거나 진한 국물의 돈고츠 라멘, 덮밥도 꼭 맛보아야 할 음식이다. 

홍콩에서는 고소하고 달콤한 맛이 일품인 진한 밀크티 한잔에 여러 종류의 딤섬, 홍콩식 돌솥밥 뽀우차이판을 맛보고, 마카오에서는 따끈 달콤 고소한 에그타르트와 고소하고 퍽퍽한 아몬드 과자에 생과일주스 한잔이면 입이 즐겁겠다. 마카오는 맛난 명물 간식거리가 유난히 많다고 한다. 담백한 국물이 우리 입에도 잘 맞다는 완탕면을 먹은 뒤, 차가운 우유 푸딩은 후식으로.

스페인의 전통 아침식사는 바삭하게 튀겨낸 기다란 추로스를 뜨겁고 진한 초콜라떼에 찍어 먹는 것이다. 바르셀로나에는 맛난 것 찾아 움직이는 고메이 투어가 있다고 한다. 오랜 전통의 식재료상들과 유서 깊은 카페, 대형 재래시장 등 열 군데 정도의 장소를 돈다고 하니 여행자들은 한번쯤 참가해보는 것도 좋겠다. 태국 사람들은 아침에 빠떵코라는 빵과 콩국물 '남 떠후'를 먹는다고 한다. 태국식 족발 덮밥 '카우 카 무'나 생김새와 냄새가 마치 호떡 같은 바나나 로띠도 맛있겠다. 

각 나라의 활기찬 시장 모습을 보니 내 마음도 활기차게 변한다. 책의 글, 그림, 사진 모두 배고프면 화나는 그녀의 작품이다. 혼자서 책 한 권을 완성했다는 것이 더욱 대단하게 느껴진다. 그림도 재미있고, 먹거리 위주의 사진이라서 그런지 사진을 보는 즐거움도 크다. 많은 여행을 해본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여행 전 계획했던 일정대로 움직이는 스타일이었다. 이제 발길 닿는대로 떠나는 여행을 해보려고 한다. 내가 정한 여행 원칙인 '여행지의 대학, 미술관, 시장은 꼭 들러보기'를 실행하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