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 - 정혜윤이 만난 매혹적인 독서가들
정혜윤 지음 / 푸른숲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자칭 '책 행동학'의 창시자이고 싶어 하는 저자 정혜윤의 '(지상에서 가장 관능적인 독서기) 침대와 책'을 읽었었다. 읽는 내내 속으로 감탄하고 있었지만 정작 내용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대학교 다닐 적에 전공은 화학공학이었는데 교양과목으로 '서양 문화의 이해'를 들었다. 수업 시간에 교수님 목소리는 듣고 있으나 무슨 말인지 알아듣기 힘들었는데 '침대와 책'을 읽으면서 그런 느낌이었다.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를 읽고 싶었던 이유는 책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인 정혜윤의 책이고, 그녀가 만난 매혹적인 독서가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기 때문이다. '침대와 책'보다는 쉽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녀의 책 앞표지에는 무릎 정도까지 오는 하늘거리는 스커트, 맨발 그리고 수많은 책의 모습이 보인다. 이번에도 표지 모델은 저자가 직접 했다. 한 서점에서 촬영했다는 분위기 있는 표지 사진을 보고 있으면 어릴 적 만화영화에서나 볼 수 있음직한 마치 책 사이로 빨려들어갈 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 매혹적인 독서가들의 소개가 짤막하게 나오고 정혜윤이 그들을 이야기하며 그들의 목소리 또한 들려준다. 

일어 스터디 모임에서 만난 언니가 추천해준 '미학 오디세이'를 읽고 진중권을 알게 되었다. 그는 독서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자기만의 목록 만들기를 꼽는다. 감동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기만의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려고 책을 읽는단다. 정이현의 '달콤한 나의 도시'나 '오늘의 거짓말'은 표지가 마음에 들어 집어들었고, 도서관에서 빌려 읽거나 서점에서 자리잡고 앉아 읽었다. 어린 시절엔 활자 중독증에 걸린 소녀였다는 그녀, 5학년 때 처음 교보문고에 가서는 많은 책을 보며 언젠가 자신의 책을 여기에 못 꽂아놓고 죽는다면 아무 존재도 아니구나 생각했단다. 그런 생각을 했었기에 지금의 그녀가 존재하는 건 아닐까.

중학교 음악 시간에 선생님 책상에서 공지영의 책을 보았었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와 '고등어'. 난 그때 '고등어'의 표지만 보고 어른들이 읽는 책이라고 단정지어버렸다. 그녀의 책을 처음 읽은 건 도서관에서 베스트셀러 목록을 보고 고른 '봉순이 언니'였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으면서는 눈물을 뚝뚝 떨어뜨렸다. 안셀름 그륀 신부의 '너 자신을 아프게 하지 말라'는 모든 사람이 읽어야 할 책으로 추천하고 있다. 대학교 다닐 때 김탁환의 '방각본 살인 사건'을 읽고서 친구들에게 읽어보라고 추천했었다. 아마도 그 책을 읽은 후로 역사소설에 흥미를 갖게 되었을 것이다. 김탁환은 이문열의 소설은 거의 다 읽었고 특히 김승희의 시집 '왼손을 위한 협주곡'을 좋아한단다. 

일하면서 알게 된 언니는 은희경을 좋아했다. 그래서 생일에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를 선물했었다. 내가 읽은 것은 소설집 '상속'과 장편소설 '비밀과 거짓말'이다. 그녀의 글을 읽다보면 마음에 드는 구절이 꽤 많다. 은희경은 초등학교 때의 '닥치는 대로 한 바퀴 도는 독서'가 그렇게 신나고 즐거웠단다. 한때 소설만 읽던 나는 다른 분야의 도서 목록을 정리해 도서관에서 찾아내어 훑어보고는 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읽은 것이 아니고 훑어보았다는 것이다. 그동안 접하지 않은 분야가 딱딱하게만 느껴졌다. 자칫 지루하다고 느끼면 그 분야에 아예 흥미를 잃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책장을 넘기며 눈길을 끄는 부분을 골라 읽었다. 그 중에 이진경의 '철학과 굴뚝청소부'도 있었다. 어린 시절에 말없고 내성적이고 책 읽는 걸 좋아하는 아이였다는 이진경, 주변에 조언해주는 사람이 없어서 혼자 닥치는 대로 읽었고 고등학생 때 카프카를 좋아하게 된다. 

2006 서울국제도서전에서 '신경숙' 작가의 방을 보았던 게 생각난다. 장편소설 '바이올렛'의 신경숙은 대학 졸업하고 취직이 안 되어 시립도서관에 매일 다녔다. 일이 년 정도 기간에 특정 작가의 책을 다 읽어보기. 작가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권하는 방법이란다. 나도 그랬었다. 특정 작가의 책을 전부 읽은 건 아니지만 여러 작품을 읽으려고 했다. 중학교 때 친구 소개로 '개미'를 구입해 읽고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팬이 되어 대학생 때 그의 책을 출간된 순서로 읽었다. 검은색 표지에 이끌려 '미소 지은 남자'를 읽고 스웨덴 작가 헤닝 만켈의 이야기에 빠져들어 그의 다른 추리소설을 읽기도 했고, 김진명이나 로빈 쿡, 김하인, 이외수, 한비야의 책들도 여러 권씩 읽었다. 여행과 미술을 좋아하여 그 분야의 책은 가리지 않고 읽었다. '미애와 루이, 318일간의 버스여행'과 한젬마의 '그림 읽어주는 여자', 박서림의 '나를 매혹시킨 화가들', 다빈치 아트 시리즈(샤갈/클림트)를 재미있게 읽었다. 그리스 여행을 앞두고는 그리스 관련 책들을 쌓아놓고 읽기도 했고, 가보고 싶은 나라 터키에 관한 여행 보고서를 작성하면서는 터키 관련 책들을 잔뜩 읽었다. 특히 르네 그리모의 '매혹의 그리스'와 역사여행가 권삼윤의 '꿈꾸는 여유, 그리스', 니코스 카잔차키스 장편소설 '그리스 인 조르바', 미노의 '수상한 매력이 있는 나라 터키' 그리고 curious 시리즈가 좋았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는 자기계발서를 많이 읽었고 취업을 하고서는 재테크 서적을 읽으며 공부했다.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국어 수학이나 유아교육 관련 책에 관심이 갔고, 에세이를 읽을 때는 마음이 편안했다. 트레이시 슈발리에의 '진주 귀고리 소녀'와 고든 글래스코의 '르노강에 피는 사랑'을 좋아하고, 윤대녕 장편소설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와 그 책에 나오는 김영갑에 대한 이야기가 인상 깊어서 읽게된 '그 섬에 내가 있었네'도 좋았다. 그 덕에 지금도 국내에서 가장 가보고 싶은 곳은 제주도의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이다. 내가 읽은 책 이야기를 하자면 정말 끝이 없을 것 같다. 다시 한 번 내가 읽은 책들에 대해 깔끔한 정리를 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