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장의 사진미학 - 진동선의 사진 천천히 읽기
진동선 지음 / 예담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가장자리를 살짝 그을린 듯한 검은색의 표지가 깔끔하면서 분위기있고 왠지 고풍스러운 느낌이다. 누가 찍은 사진일까? 한 장의 사진일 뿐인데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는 것 같다. 틀 안의 작품처럼 느껴지는 최중원님의 <거울 속의 꽃병>, 밝은 조명을 한 화분의 꽃이 작가에게 뭔가 큰 의미가 있는 게 아닐까.

여행기를 읽든지 사진이나 그림이 많은 책을 볼 때면 항상 그렇듯이 이 책도 사진부터 죽 훑어 보았다. 작가 미상의 <결혼식>을 보는 순간 깜짝 놀라며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 보았다. 신부님 옆에 계신 분이 엄마의 젊은 시절 모습과 비슷했기 때문이다. 사진 찍은 연도도 내가 태어난 다음 해여서 나이도 비슷해 보였다. 책을 들고 엄마에게 보여드리면서 엄마가 아닌지 물었더니 엄마도 남동생도 정말 비슷하다면서 웃는다. 

사진 작품은 하나 같이 멋지고 마음에 들었다. 하지만 글을 읽으면서는 조금 어려웠다. 사진에 숨은 이야기나 저자가 옛 추억을 떠올리며 해주는 이야기들은 재미있었다. 다만 사진 용어나 사진의 역사, 해석학 등 전문적인 내용이 내게 무겁게 느껴졌을 뿐이다.  

사진을 보고, 사진을 읽고, 사진을 느끼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모두 다르게 보일지라도 사진을 찍는 사람에게는 소중한 순간을 간직하고픈 마음이 담겨있는 것이 사진이다. 사진을 배운 적도 없고 사물이나 인물, 풍경을 향해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를 눌러본 것이 전부지만 찍는 것과 표현하는 것이 다르다는 말에 공감한다. 보는 대로 누를 수는 있지만 보이는 것들로 하여금 말하게 하기는 어렵다. 아빠가 찍어주신 어릴 적 사진들이나 성인이 되어 여행하면서 찍은 풍경 사진들을 보면 무언가를 표현하기 위해 찍었다기보다 그 순간을 기념하기 위해 찍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사진이라는 영역은 넓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