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行大義 -上 대유학술총서 1
김수길.윤상철 옮김 / 대유학당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아버지께서 간직해오신, 거실 책장 맨 아래 칸을 채우고 있는, 두께가 어마어마한 표준 국어사전이나 가정 대백과사전을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오행대의'의 두께가 엄청나다는 것은 아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널리 알려진, 소길의 '오행대의'를 번역했다는 상, 하권 둘을 합한다면 조금 두껍다고 느낄까. 도서관에 가면 거의 찾지 않는 코너를 차지하고 있는 한 질의 오래된 책들의 느낌이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아무도 읽고 싶어하지 않는 책이라는 것은 아니다. 오행에 관심 없는 일반인이 읽는다면 지루하다 못해 머리가 아플 수도 있지만, 오행학설을 공부하는 사람이나 이 영역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참고서가 될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히 읽지는 못했다. 한 장씩 넘기며 두 번을 보았다. 하지만 이해하기 어렵고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는 건 마찬가지였다. 역자의 말이나 서문을 읽어보면 '오행대의'가 훌륭한 책임에는 틀림없다. 비록 상 권만 보았을 뿐이지만 어려우면서도 신기했다. 오행을 다섯 수와 연결짓거나 계절이나 절기를 오행으로 설명하는 것, 간지를 신체와 오장에 배속시키는 것이 그러했다. 예전에 띠를 보고 서로 맞지 않는 상대를 알아내는 표가 있었다. 가족의 띠로 확인해보았던 기억이 있다. 제 12편에서 서로 해가 되는 이유를 12간지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헷갈리기만 할 뿐이다. 

책을 처음 손에 잡았을 때 막막했던 것과 달리 '오행대의'에서 조금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부분이 있었으니 상 권의 맨 마지막 부분 제 14편이다. 색(色)과 악기(초중학교 때 이후로 처음 듣는 듯한 '궁상각치우')와 맛(味)을 오행과 연결지어 배속시키는 것이 재미있었다. 다섯 가지 맛을 과일, 나물 등 음식 외에 돌이나 벌레에까지 나타내다니. 계절과 장부(藏府) 등 결국 오행으로 설명되지 않는 것은 아무 것도 없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