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목돈만들기 -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순간부터 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시리즈 2
김창수 지음 / 새로운제안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대학 졸업할 때까지는 목돈만들기에 대한 생각이 거의 없었다. 3년 만기 자유적금 하나 드는 정도였다. 사회에 첫 발을 내딛고 첫 월급을 받고서 통장관리에 들어갔다. 표지에도 나와있는 장기주택마련저축, 펀드, 청약저축, 적금으로만 매달 월급의 절반 정도가 빠져나간다. 1년 전부터 생각만 하고 있던 CMA도 얼마 전에 만들었다. 사실, 내 손으로 가입한 건 하나도 없다. 부모님께서 나서서 해주신 것이다. 멋모를 때 준비해놓은 게 18개월이 지나고 보니 조금은 뿌듯하다.

고등학교나 대학교 때 재테크 관련 수업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졸업하고 사회생활하면서 지식이 거의 필요 없는 예를 들어, '기술'이나 '한국지리', '수학Ⅱ' 같은 과목을 없애고 실생활에 유용한 '재테크'라든지 '목돈만들기' 과목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학교에서가 아니더라도 무료 동영상 강의가 나온다면 어떨까. 세부 과목에는 보험, 펀드, 적금, 연금 등이 있고 말이다. 

제목이 눈길을 끌었다. '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목돈만들기'. 큼직한 글자가 한눈에 쉽게 들어왔고, 깔끔한 표지가 책장을 넘기고 싶게 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의 형식으로 이야기가 구성되어 있어서 책에 더 정감이 갔다. 나와 나이나 성별이 같은 사람들의 질문은 더욱 유심히 보았고, 가입 중인 상품에 대한 답변글은 밑줄을 그어가며 상세하게 읽었다. 재테크 관련 서적을 여러 가지 읽어보았지만, 이 책의 색다른 구성이 참신했고 대학 교양과목의 교재를 읽는 듯 이해하기 어렵지 않아서 좋았다. 나의 재무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부터 은행 월급통장과 CMA통장의 비교, 신용카드 사용, 적립식펀드를 고르는 요령 등 새내기 직장인들이 궁금해할 만한 것들이 친절하게 나와있다. 마지막 장에서 소개된 목돈만들기 실전사례는 관심 있게 보았다. 나와있는 자료를 참고하여 투자 포트폴리오도 작성하고 실천해보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